차산업협회, 총액임금 적정화·성과형 임금체계 등 제안
[뉴스핌=송주오 기자] 국내 자동차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노사 관계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는 8일 서울 강남구 르네상스서울호텔에서 '자동차산업의 협력적 노사관계 구축방안 세미나'를 개최했다.
![]() |
김용근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이 국내 자동차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근본적인 노사 관계 변화를 촉구했다.<사진제공=한국자동차산업협회> |
주제발표를 맡은 조철 산업연구원 주력산업연구실장은 "고비용·저효율의 후진적 노사관계에 머물러 있는 국내 자동차산업은 치열한 글로벌 경쟁상황을 감안할 때 더 이상 발전을 지속할 수 없다"며 "위기의식이 확산되고 있다"고 밝혔다.
조 실장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고용과 임금의 빅딜을 선언하고 생산성과 연계된 임금체계 도입, 노동의 유연성, 위기의식 공유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토요타, GM, 폭스바겐 등 글로벌 업체들은 위기시 경쟁력 향상을 위해 노사가 협력하는 관계로 발전해왔다고 언급했다.
차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선 ▲임금과 고용간의 합리적 빅딜 협상구조로의 전환 ▲1년 단위의 노사간 단기협약을 3∼4년 단위의 중장기 협약 체결 ▲노사 합의사항에 대한 법적 효력에 준하는 안정성 보장 등을 제안했다.
아울러 생산성 및 직무와 연계된 합리적 성과급제, 합리적 요건 확보 시 원활한 개별해고 및 정리해고 가능 등도 언급됐다.
김용근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은 "고비용․저효율의 노사관계 부담이 계속된다면 '후퇴'냐 '전진'이냐의 기로에 서 있는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은 더욱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며 "노사간 치열한 글로벌 경젱 속에서 회사가 어디에 있는지, 어디로 나아가야 하는지를 열린 마음으로 공유하면서 동 제안을 진지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김현철 교수(서울대 국제대학원)를 좌장으로 권 혁 교수(부산대 법학전문대학원), 김희성 교수(강원대 법학전문대학원), 송창석 교수(숭실대 경영학과, 한국자동차산업학회장), 양동훈 교수(서강대 경영학과), 이지만 교수(연세대 경영학과)가 참석하여 한국 자동차산업 노사관계의 글로벌 스탠다드 정립을 위한 방안들에 대하여 심도 있는 토의를 가졌다.
[뉴스핌 Newspim] 송주오 기자 (juoh8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