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마케팅 등 인문계 지원직군은 학점 서류 없어
[뉴스핌=김선엽 기자] 삼성그룹이 올 하반기 공채부터 학점 제한을 폐지한다. 하지만 삼성 측은 이공계 출신이 주로 지원하는 연구개발직군과 기술직군, 소프트웨어직군의 경우 전공 학점이 여전히 전형의 중요 요소라고 강조했다.
지원하는데 있어 학점 제한은 없지만 전공 과목 성적이 좋지 않을 경우 불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2일 삼성그룹에 따르면 이번 하반기 공채부터 실시되는 신규 전형의 경우 학점제한이 사라진다.
올 상반기 공채까지는 학점제한 기준(3.0이상/4.5만점)을 통과하는 경우에만 삼성직무적성검사(GSAT, 종전의 SSAT)에 응시할 수 있는 지원자격이 있었지만 하반기 공채부터는 학점과 무관하게 지원이 가능하다. 다만 단, 회사·직군별 영어회화 기준은 유지한다.
학점 제한은 없지만 그렇다고 학점이 낮아도 입사가 가능한 것은 아니다.
삼성의 모집 직군은 연구개발·기술·소프트웨어·영업마케팅·경영지원직 등 총 5개로 나눠지는데 이공계 졸업생들이 주로 지원하는 연구개발/기술/소프트웨어 직군의 경우 전공능력으로 직무적합성을 평가한다.
전공능력은 지원서 접수시 제출한 서류를 통해 평가하는데 출신 학교의 학점도 당연히 포함된다. 따라서 지원서 제출 시 학점도 함께 제출해야 한다.
삼성 관계자는 "연구개발/기술/소프트웨어 직군은 수학, 물리 등의 기초과목을 비롯해 전공과목을 심화과정까지 깊이있게 공부하면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반면, 인문계 학생들이 주로 지원하는 영업마케팅·경영지원직군은 학점 서류를 제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학점은 평가요소에서 제외된다. 대신 직무 에세이를 제출해야 한다.
삼성 관계자는 "영업직의 경우 리더십·팀업·사교성 등 적합성을 갖췄다고 하면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며 "직무 에세이는 글 쓰는 능력을 평가하는 게 아니라 직무에 어떤 관심을 가졌는지 실제 사례를 구체적으로 적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뉴스핌 Newspim] 김선엽 기자 (sunu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