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상업적 서비스 탈바꿈하려는 회사에 제동"
[뉴스핌=배효진 기자] 전 세계에서 매달 1억6000만명이 방문하는 커뮤니티 서비스인 레딧의 최고경영자(CEO)가 사임했다. 레딧의 독단적인 경영 방침에 불만을 가진 이용자들이 집단 보이콧에 나선 결과다.
레딧의 투자자이자 Y컴비네이터를 이끄는 샘 알트만은 10일 레딧에 올린 글에서 엘렌 파오 레딧 CEO가 사임한다고 전했다. 후임자는 레딧의 공동 창립자이자 초기 CEO였던 스티브 허프만으로 알려졌다.
실리콘밸리의 전설적인 벤처투자사를 상대로 성차별 소송을 내 유명세를 탔던 파오 CEO가 사임한 배경은 독단적 경영과 일방향적 소통 때문이라는 관측이다.
레딧은 집단지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다. 독자들의 참여에 따라 뉴스의 위치가 결정되는 알고리즘을 채택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모든 게시글은 독자가 자발적으로 올리며 주제별 포럼인 서브레딧은 자발적 관리자인 '모드'에 의해 운영된다.
이에 지난 1월 기준 월간순방문자가(MAU) 1억7000만명, 조회수 67만건을 기록할 정도로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앞서 파오는 AMA(Ask Me Anything)이라는 서브레딧을 운영하는 모드 겸 직원인 빅토리아 테일러를 해고했다.
AMA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빌 게이츠 마이크로 소프트 회장 등 저명 인사들이 직접 참여한 바 있는 레딧의 대표적인 서브레딧이다.
이에 레딧 경영진은 AMA를 대중적이고 상업적인 서비스로 성장시키고자 했다. 하지만 빅토리아 테일러가 "레딧의 커뮤니티 정신을 갉아먹는다"며 반대하자 파오 CEO는 즉시 그를 해고했다.
이후 파오 CEO의 독단적인 처사에 불만을 가진 이용자들은 집단 행동에 나섰다. 300여 개의 서브레딧이 문을 닫은 데 이어 인터넷 청원사이트 '체인지'에 올린 파오의 사퇴 요구 서명만 20만개에 달했다.
심지어는 중국계인 파오의 얼굴을 모택동에 빗대는 이미지를 게재하며 그의 일방향적 소통에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버티다 결국 지난 3일 사과 성명을 발표했다. 파오는 모든 책임이 자신에게 있는만큼 회원들의 요구사항을 충실히 실행하겠다고 약속했다.
[뉴스핌 Newspim] 배효진 기자 (termanter0@newspim.com)
레딧의 투자자이자 Y컴비네이터를 이끄는 샘 알트만은 10일 레딧에 올린 글에서 엘렌 파오 레딧 CEO가 사임한다고 전했다. 후임자는 레딧의 공동 창립자이자 초기 CEO였던 스티브 허프만으로 알려졌다.
실리콘밸리의 전설적인 벤처투자사를 상대로 성차별 소송을 내 유명세를 탔던 파오 CEO가 사임한 배경은 독단적 경영과 일방향적 소통 때문이라는 관측이다.

이에 지난 1월 기준 월간순방문자가(MAU) 1억7000만명, 조회수 67만건을 기록할 정도로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앞서 파오는 AMA(Ask Me Anything)이라는 서브레딧을 운영하는 모드 겸 직원인 빅토리아 테일러를 해고했다.
AMA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빌 게이츠 마이크로 소프트 회장 등 저명 인사들이 직접 참여한 바 있는 레딧의 대표적인 서브레딧이다.
이에 레딧 경영진은 AMA를 대중적이고 상업적인 서비스로 성장시키고자 했다. 하지만 빅토리아 테일러가 "레딧의 커뮤니티 정신을 갉아먹는다"며 반대하자 파오 CEO는 즉시 그를 해고했다.
이후 파오 CEO의 독단적인 처사에 불만을 가진 이용자들은 집단 행동에 나섰다. 300여 개의 서브레딧이 문을 닫은 데 이어 인터넷 청원사이트 '체인지'에 올린 파오의 사퇴 요구 서명만 20만개에 달했다.
![]() |
<출처=레딧닷컴> |
그는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버티다 결국 지난 3일 사과 성명을 발표했다. 파오는 모든 책임이 자신에게 있는만큼 회원들의 요구사항을 충실히 실행하겠다고 약속했다.
[뉴스핌 Newspim] 배효진 기자 (termanter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