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3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마련된 범 영화인 대책위 기자회견 [사진=한국영화제작가협회 제공] |
[뉴스핌=김세혁 기자] ‘표현의 자유 사수를 위한 범 영화인 대책위원회’가 13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날 기자회견은 부산시의 부산국제영화제 이용관 집행위원장 사퇴 종용과 영화진흥위원회의 영화상영 등급분류 면제 추천 개편 시도, 그리고 독립예술영화 지원사업 개편 등에 대한 영화인의 우려를 표명하는 자리였다.
이날 범 영화인 대책위는 최근 벌어진 일련의 사건이 정부가 헌법에서 보장한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사태라며 우려했다. 이어 문화체육관광부 김종덕 장관과 면담 요청 및 서병수 부산시장에 대한 공개질의를 통해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와 부산시의 노력을 촉구했다.
범 영화인 대책위 공동 위원장 한국영화제작가협회 이은 회장은 “스크린쿼터 이후 10년 만에 거의 모든 영화단체가 모인 것은 표현의 자유 때문”이라며 “이는 예술인들에게 생명과도 같은 것이며, 표현의 자유가 없으면 영화의 발전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한국영화평론가협회 민병록 회장은 “국제적 망신”이라며 개탄했다.
범 영화인 대책위 공동 위원장 한국독립영화협회 임창재 이사장은 “이용관 집행위원장 사퇴 압박과 비슷한 시기에 영진위 위원장이 임명됐고, 영화제 영화상영 등급분류 면제 추천 제도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부산국제영화제에 부당한 인적 쇄신을 요구하는 등 투 트랙으로 제도적 압박을 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독립영화 ‘자가당착’과 ‘다이빙벨’로 인해 불편한 현 정권이 관객으로부터 영화를 차단할 목적으로 일련의 퇴행적인 액션을 취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난했다.
특히 범 영화인 대책위 공동 위원장인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 안병호 위원장은 “일련의 사건들로 (정부의)입맛에 맞는 영화를 만들고 상영하겠다는 의도가 분명하다”며 “영화를 문화로 대하지 않고 다른 가치로 보려는 데 대해 현장의 스태프들도 동참해 한 목소리를 내겠다”고 말했다.
범 영화인 대책위는 16일 서병수 부산시장와 김종덕 문화관광체육부장관에게 공문을 통해 질의서와 면담요청서를 전달한다. 이후 행보는 영화계의 긴밀한 소통과 논의를 통해 결정될 예정이다.
범 영화인 대책위는 한국영화제작가협회, 한국영화감독조합,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전국영화노동조합, 한국독립영화협회 등 74개의 영화 단체 및 영화제로 구성된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40여개의 단체 대표들이 참석했다.
[뉴스핌 Newspim] 김세혁 기자 (starzooboo@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