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스트리밍하며 생체정보 전달…통화는 기본
[뉴스핌=노종빈 기자] 스마트와치와 구글글래스에 이어 귀에 장착하는 히어러블(hearable·들을수 있는) 기기가 2015년을 주도할 새로운 비즈트렌드로 주목받고 있다.
이제까지 스마트 기기 가운데 손목 등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기는 많이 있었지만 기대만큼 성과는 크지 않았다.
![]() |
아이리버의 웨어러블 기기인 '아이리버온'. 블루투스 헤드셋에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결합돼 있다. [출처: iriver 웹사이트] |
30일 CNBC에 따르면 세계 최초의 스마트 헤드폰을 개발한 독일 브라기사의 니콜라이 히비드 최고경영자(CEO)는 "히어러블 기기는 귀에 작은 컴퓨터가 장착된 것과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
히어러블 기기를 통해 사용자는 주로 음악 등을 들을 수 있고 동시에 건강체크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이어폰과 같은 형태의 스마트 기기로 생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식이다.
또 이렇게 측정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직접 소리로 전달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 될 수 있다. 결국 스마트폰 블루투스 핸즈프리 전화기능을 통해 일반적인 전화통화는 물론 운동이나 의학적 상담도 가능하다.
닉 훈 위포어컨설팅 최고기술경영자는 "소리로 전달한다는 기능이 상당한 부분을 차지할 것"이라며 "(히어러블이) 기존 웨어러블 기기의 정착을 이끌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 분석업체 IDC는 애플이 내년 히어러블 부문에서 선도적인 기업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뉴스핌 Newspim] 노종빈 기자 (unti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