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김기락 기자] 우리나라 국민들이 본방 후 1주일내에 해당 TV프로그램 주문형비디오(VOD)를 시청하는 시간이 VOD 이용시간(본방일 후 30일 기준)의 46%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전국의 IPTV사업자와 케이블TV사업자로부터 올해 10월 방송된 10개 TV채널 42개 특정 프로그램의 본방일 후 30일 동안 고정형TV의 VOD 일자별 시청시간을 제출받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결과에 따르면 본방 후 +1일 시청이 6022만분(17.3%)으로 가장 많았다. 당일이 1644만분(4.7%), +2일이 2485만분(7.1%), +3일 1518만분(4.4%)로 본방송 후 +3일 이내에 전체 시청시간의 33.6%가 집중됐다.
또 본방 이후 +7일까지 시청시간 누적비율이 46.0%, +14일까지 60.4%, +21일까지 73.1%를 시청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조사 프로그램의 장르별 이용추이는 예능 프로그램은 본방 후 +1일에 최고치를 기록한 후 하락세를 유지하다 +7일, +21일에 이용시간이 다시 증가하는 반면, 드라마는 대부분의 시청시간이 +3일안에 집중적으로 소비됐다. 교양 프로그램은 일자별로 시청시간의 기복이 별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VOD로 가장 많이 시청하는 예능 프로그램의 무료전환 시기가 종편이 7일 후, 지상파방송프로그램이 21일 후라는 이유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방통위 관계자는 “이번 조사결과는 방통위가 시청점유율 개선을 위해 운영하고 있는 ‘N스크린 시청기록조사 민관협의회’(의장 고삼석 방통위 상임위원)에서 VOD시청 합산기간 논의 시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김기락 기자 (people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