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윤지혜 기자] 경기 성남 판교에서 발생한 환풍구 추락사고 현장에 애초 안전요원이 없었다는 경찰의 잠정 수사결과가 나왔다.
또 진실 공방이 일고있는 '주최자' 도용 의혹에 대한 조사 내용이 발표됐다.
경기지방경찰청 수사본부는 19일 오전 언론 브리핑을 통해 "1차 참고인 조사만 받은 상황이어서 '사실'이 아닌 진술내용을 기준으로 발표한다"고 전제한 뒤 "축제 계획서에는 안전요원 4명을 배치하는 것으로 돼 있었지만 애초에 안전요원은 없었다"고 밝혔다.
이어 "안전요원으로 등재된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직원 4명도 자신이 안전요원인지조차 모르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 |
17일 경기 성남시 판교테크노밸리 한 축제장 인근 환풍구 위에 서있던 사람들이 환풍구 덮개가 붕괴되며 20m 아래로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국과수 직원들이 현장을 감식하고 있다. 이날 사고는 밤 10시를 기준으로 16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조사 결과, 축제 현장에는 과기원 직원 16명이 기업 홍보활동을, 11명이 무대 주변관리 및 이벤트 행사진행을 맡고 있었고, 행사 사회자 2명을 포함한 이데일리 측 11명이 공연을 담당하고 있었지만 사전에 안전요원 배치 현황에 대해 모두 모르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안전요원으로 분류된 과기원 직원 4명은 스스로도 이 사실을 모른 채 현장에 배치된 것으로 밝혀졌다.
경찰은 '주최자' 무단 명기 의혹에 대해서도 지금까지 조사된 내용을 공개했다.
경찰 관계자는 "과기원 본부장은 성남시가 행사와 관련해 이데일리에 500만원을 지원하기로 한 것과 과기원이 경기도 산하기관이란 점을 고려, 공동 주최자로 경기도와 성남시를 명기하기로 하고 사업계획서를 결재한 바 있다고 진술했다"며 "아직 사실관계가 확실히 파악된 것은 아니어서 주최사 무단 명기 여부에 대해선 추후 판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공연 예산은 애초 2억원으로 책정됐으나 7000만원으로 축소됐고, 예산은 과기원 3000만원, 성남시 1000만원, 기업체 등 3000만원으로 조달할 계획이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며 "하지만 성남시 측은 지원 계획이 없었다고 진술하고 있어 앞으로 사실관계를 더 조사해야 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한편, 경찰은 이날 오전 수사관 60여명을 투입해 20여곳을 압수수색했다.
압수수색 대상은 서울 중구 회현동 이데일리와 이데일리TV, 이들로부터 행사장 관리를 하청받은 업체,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경기과기원 본사와 성남시 분당구 과기원 판교테크노밸리 지원본부 등이다.
또 이데일리TV 총괄 본부장 등 행사 관계자, 과기원 직원의 신체를 포함한 자택·사무실·승용차 등도 포함됐다.
관련자 6명은 모두 참고인 신분이지만 출국금지 조치됐다.
[뉴스핌 Newspim] 윤지혜 기자 (wisdo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