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대중문화부] '산통을 깨다'의 뜻이 화제다.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산통을 깨다의 뜻'이란 제목으로 게시글이 올라왔다.
해당글에 따르면 '산통을 깨다'에서 산통(算筒)의 의미에 따라 이 표현을 두 가지로 풀이할 수 있다.
먼저 '산통점(算筒占)'에 쓰인 산통(算筒)의 의미이고 다른 하나는 목돈을 모을 목적으로 조직한 '산통계(算筒契)'의 산통이다.
먼저 산통점은 산통을 이용해 치는 점으로 여기서 산통은 ‘산가지를 넣는 통’을 말한다. 산가지를 넣은 산통을 대여섯 번 흔든 다음 산통을 거꾸로 들면 그 구멍으로 산가지가 나오며 이 산가지 괘로 점을 치게 된다.
산통을 깨는 것은 점을 치지 못하게 하는 행동이다. 즉, 점을 치기 바로 전 단계에서 산통을 깨는 행동은 잘 되어가던 일을 중간에서 망친다는 의미다.
또 다른 뜻인 산통계의 산통은 계산통으로 목돈을 모을 목적으로 조직한 계 '산통계(算筒契)'에서 계알을 넣고 곗돈을 탈 사람을 뽑는 통을 뜻한다.
과거에 계원들은 정해진 날에 일정한 곗돈을 모은 다음 통 속에 계알을 넣고 흔들어 추첨을 했다. '계알'이란 계원의 이름과 번호를 적어 놓은 나무 알로 추첨에서 뽑힌 계원에게는 많은 할증금이 돌아갔다.
산통계는 계원 전원이 한 번씩 곗돈을 타야 끝이 나지만 중간에 깨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는 최종 목적인 곗돈 타는 일이 무산되는 것이기 때문에 어떤 일이 이뤄지지 못하게 뒤틀렸을 때 '산통깨다'라고 말한다.
한편 '산통을 깨다' 뜻을 접한 네티즌은 "산통을 깨다 뜻 재밌네" "산통을 깨다 뜻이 이렇게 많아?" "산통을 깨다 뜻, 그냥 나온 말이 아니구나" 등의 반응을 보였다.
[뉴스핌 Newspim] 대중문화부 (newmedi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