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후 "전체물량 중 84% 특허정보진흥센터 배정...배정방식 형평성 떨어져"
[뉴스핌=홍승훈 기자] 특허청이 형평성이 떨어지는 배정방식으로 특정 기관에만 용역사업을 몰아주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17일 특허청 국정조사를 앞두고 국회 산업통상자원위 소속 이강후 의원(새누리당)은 특허청의 '특허·실용신안(이하 '특실') 선행기술조사 사업' 용역 물량이 한국특허정보원 특허정보진흥센터에 지나치게 편중되고 있다고 밝혔다.
'특실 선행기술조사 사업'이란 특허심사 업무의 일부인 선행기술조사를 외부 전문기관에 용역 의뢰 심사관의 심사업무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사업.
현재 특허청은 특실 선행기술조사 물량의 50%를 특허정보진흥센터, 윕스, 아이피솔루션 3개의 전문기관에 용역을 주고 있는데, 각 기관별 조사품질평가는 큰 차이가 없음에도 배정물량은 매년 큰 차이로 특허정보진흥센터에 편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의 경우 세 기관의 품질평가 점수는 1~4점 정도로 비슷하나 특허정보진흥센터는 다른 기관의 9~10배로 용역 물량을 차지(83.5%)하고 있다.
이 의원은 이를 두고 특허청의 선행기술조사 기관별 물량배정 방식의 불공평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 의원은 "산정방식을 보면 당해 물량배정에 있어 전년도 품질평가 점수를 활용하고는 있으나 전년도 해당 기관의 배분비율을 곱하도록 돼 있다"며 "다시말해 이전에 소량의 물량을 배정받은 윕스, 아이피솔루션 등 발주자가 아주 큰 차이로 특허정보진흥센터의 조사 품질을 넘어서지 않는 한 배정물량을 늘리기 힘든 구조"라고 한계를 설명했다.
이 의원은 "이러한 산정방식을 통한 용역 물량 배분은 결국 선발주자인 특허정보진흥센터의 기득권 보호를 위한 제도로 경쟁을 통해 품질을 강화하겠다는 당초 사업 취지와는 거리가 멀다"면서 "용역 물량 산정시 품질평가 점수에 가중치를 두는 등으로 산정방식을 수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뉴스핌 Newspim] 홍승훈 기자 (deerbear@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