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동훈 기자] 앞으로 새로 개통된 도로나 준공된 건물이 지도에 늦게 표기돼 불편을 겪는 일이 사라질 전망이다.
또 스마트폰을 지원하는 전자지도가 늘어나고 필요한 데이터를 융합해 사용하기가 쉬워질 것으로 보인다.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은 국가기본도의 수정주기를 단축하고 신규 전자지도 제작 및 기술 고도화, 다양한 데이터의 융합과 서비스 등의 내용을 담은 '국가기본도 선진화 추진계획'을 확정했다고 29일 밝혔다.
국가기본도는 나라의 가장 기본이 되는 지도로서 국토 전역에 걸쳐 1대5000으로 통일된 축척과 정확도로 제작된 지도다.
국토지리정보원은 인터넷, 스마트폰을 이용해 국토 변화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알고자 하는 국민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국가기본도를 마련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국가기본도 선진화 추진계획에서는 우선 현행 2년 주기 수정체계를 상시수정체계로 바꾼다. 이에 따라 국민생활과 밀접하고 변화가 지역은 지도 내용이 상시 업데이트될 전망이다.
또 기존 현장조사 방법을 보강해 기존까지 지도제작 방법에서 무인항공기, 모바일매핑시스템 등의 신기술을 적용해 신속하게 지도를 수정해 나갈 방침이다.
계획에서는 또 민간수요가 대폭 감소하고 있는 종이지도 제작을 축소하고 영상과 지도가 중첩된 새로운 형식(PDF)의 전자지도(온맵, On-Map)를 제작 할 예정이다.
온맵은 대국민 공모를 통해 선정된 신개념 전자지도의 명칭으로 전문 S/W나 기술 없이도 사용자 편집이 가능한 지도다.
이와 함께 해양, 항공, 실내, 지하공간 등 다양한 국토정보를 지도에 표현하고 시멘틱 지도검색, 사용자 참여형 지도, 1대2만5000 영문판 지도 등의 새로운 서비스 체계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국토지리정보원 관계자는 "지난해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칼어, 아랍어로 제작된 지도를 발간하고 지명 홍보에 기여해 외교통상부로부터 감사패를 수여 받았다"며 "이번 국가기본도 선진화 계획을 통해 저비용, 고효율의 국가기본도 제작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이동훈 기자 (donglee@newspim.com)
72% 폭락한 세즐 '텐배거' ② 지금이 바닥, 130달러 예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