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경제

속보

더보기

글로벌 車브랜드, 브라질서 한판승부

기사입력 : 2012년11월09일 16:18

최종수정 : 2012년11월09일 18:41

- 피아트 등 앞다퉈 생산설비 확대..장기적 성장 가능성 주목

[상파울루(브라질)=김홍군 기자]브라질이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들의 최대 격전지로 부상하고 있다. 폭스바겐, 피아트, 현대차 등 주요 자동차 메이커들은 브라질 현지에서의 생산능력을 확대하는 등 세계 4대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한 브라질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치열한 물량 확대 경쟁
8일(현지시각)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브라질 내 현지생산 능력 확대에 가장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는 업체는 피아트이다.

피아트는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년간 총 100억 헤알을 투자해 현재 연산 80만대 규모의 브라질 현지 생산규모를 2014년 상반기까지 100만대 이상으로 확대해 브라질 판매 1위의 자리를 확고히 한다는 계획이다.

브라질 내 시장점유율 2위인 폭스바겐은 2014년까지 따오밧찌(Taubate) 공장에 5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통해 연산 10만대 규모의 증설을 진행 중이다.

폭스바겐은 이 공장에서 최근 새로이 선보인 ‘골(Gol)’ 개량 모델과 ‘업(UP)’ 등을 생산해 소형차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할 예정이다.

GM은 총 50억 헤알을 투자해 그라바타이(Gravatai) 공장과 상카에타누두술(Sao Caetano Do Sul) 공장의 생산능력을 증설했다. 또 산타카타리나(Santa Catarina) 엔진공장을 신설한 데 이어 2014년 가동을 목표로 산타카타리나 엔진공장 인근에 연산 15만 기 규모의 변속기공장을 건설중이다.

최근 판매량이 급상승 중인 르노-닛산도 2014년 내에 연산 28만 대의 쿠리치바(Curitiba) 공장을 38만 대 규모로 증설할 예정이며, 2014년 상반기 가동을 목표로 한 연산 20만 대 규모의 헤젠지(Rezende)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1950년대부터 브라질 시장에 진출했으나 점유율이 2%대에 그치고 있는 도요타는 올해 9월 2번째 완성차 공장인 소로까바(Sorocaba) 공장을 완공해 연산 18만 대의 생산능력을 갖췄으며, 새로 투입한 현지전략형 모델 ‘에티오스(Etios)’를 앞세워 2013년에는 연간 판매 20만대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밖에 포드, 혼다, 미쓰비시 등 다른 일본 자동차 메이커들도 앞다투어 현지생산 능력을 확대해 브라질의 자국 자동차산업 보호정책 강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후발주자인 중국업체들도 체리 자동차를 비롯해 지난해 상반기부터 브라질 시장에 진출한 8개 업체가 수입차종 확대와 현지생산 계획을 병행해 진행하고 있다.

이에 맞서 현대차도 9일 브라질 상파울루 삐라시까바에서 브라질공장(HMB)의 준공식을 갖고, 본격적인 브라질 공략에 나선다.

연간 최대 15만 대의 완성차 생산 능력을 갖춘 현대차 브라질공장은 지난 9월부터 브라질 전략 소형차 ‘HB20’를 본격 양산하고 있다.

현대차는 내년 HB20을 기반으로 SUV 모델과 세단형 모델을 추가로 투입해 브라질에서 20만대 판매를 달성한다는 목표이다.

자료 : 업계 종합
◇세계 4대 자동차시장 부상..빠른 성장성 주목
글로벌 차 브랜드들이 브라질을 주목하는 것은 빠른 성장성 때문이다.

브라질 자동차공업협회(ANFAVEA)는 최근 “2015년 브라질 자동차 수요가 500만대를 기록해 일본을 제치고 중국, 미국에 이어 세계3위의 자동차 시장으로 올라설 것”이라고 밝혔다.

2002년 139만대이던 브라질 자동차 수요는 지난해 341만대로 10년만에 약 2.5배 성장하며 독일을 제치고 세계4위의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했다.

이러한 성장의 배경에는 자동차 산업을 국가 기간산업으로 육성하려는 브라질 정부의 정책이 자리잡고 있다.

브라질 정부는 자동차 메이커들의 생산공장을 유치하기 위해 연방공업세 감면 등 다양한 세제 혜택을 부여했으며, 증가하는 수요대응 및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해 주요 완성차 업체들은 현지 투자를 확대했다.

뿐만 아니라 소형차에 유리한 세제구조와 중산층의 빠른 증가는 소형차 시장이 확대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 때문에 브라질 자동차 시장은 전통적으로 소형차급인 B 세그먼트의 판매 비중이 높아 전체 판매차량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2010년 29만대를 기록하는 등 단일 모델 기준으로 가장 많이 팔리고 있는 폭스바겐의 ‘골’도 여기에 속한다.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에탄올을 가솔린과 혼합해 사용하는 혼합연료 차량의 판매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도 브라질 자동차 시장의 특징 중 하나이다.

◇유럽발 재정위기로 단기위축..장기 성장성은 여전
다만, 브라질 자동차 시장의 여건이 좋은 것만은 아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유럽발 재정위기에 따른 원자재 수출 및 해외투자 유입 감소, 가계부채의 확대가 겹치며 시장경제가 급속히 악화되고 있다.

특히 브라질 자동차 구입자의 약 70%가 자동차 할부금융을 이용하는 상황에서 자동차 할부금리 인상, 할부승인 조건 강화 등 악재가 겹쳐 자동차 판매가 지난해 10월부터 올 5월까지 8개월 연속 감소하는 등 자동차 시장도 위축되고 있다.

여기에 지난해 말부터 수입차와 국산부품 사용비율 65% 미만 차량, 연구개발 투자 부족업체에서 생산된 차량에 대해 공업세 30%포인트 인상, 배기량별로 37~55%의 공업세가 부과됨에 따라 차량 가격이 25% 이상 인상돼 수입차 시장을 중심으로 판매부진이 더욱 심화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브라질 시장은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과 지리적 중요성으로 인해 장기적으로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주요 시장으로 주목 받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브라질 정부는 자동차 산업 침체의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내놓고 있다”며 “특히, 자국 자동차 브랜드가 없어 다국적 기업이 자동차 산업의 주체가 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이들 업체들의 국내 생산과 투자를 유도하는 정책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김홍군 기자 (kiluk@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서부지법 난동' 4명 오늘 선고 [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 = 지난 1월 서울서부지법 난동 사태 당시 언론사 취재진을 폭행하거나, 법원에 난입하는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이들에 대한 법원의 선고가 16일 내려진다. 서울서부지법 형사합의11부(재판장 김우현)는 이날 오전 10시 우 모 씨 등 4명의 선고기일을 연다. 지난 1월 19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방법원 청사 유리창과 벽면이 파손되어 있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 구속영장이 발부되자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서울서부지법에 난입해 유리창을 깨고 집기를 훼손하는 등 난동을 부려 경찰이 강제진압에 나섰다. [사진=뉴스핌 DB] 우 씨는 지난 1월18일 서부지법에서 취재 중이던 MBC 취재진에게 가방을 휘둘러 전치 2주의 상해를 입힌 혐의를 받는다. 남 모 씨와 이 모 씨는 시위대를 법원 밖으로 이동시키려던 경찰을 폭행한 혐의(공무집행방해 등)를 받는다. 안 모 씨는 서부지법 경내에 들어간 혐의(건조물침입)다. 지난 30일 결심공판에서 검찰은 우 씨, 남 씨, 이 씨에게 징역 1년 6개월, 안 씨에게 징역 1년을 구형했다. 피고인들은 모두 죄를 반성하며 선처를 호소했다. 앞서 '서부지법 난동' 첫 판결이 나온 지난 14일, 서부지법 형사6단독 김진성 판사는 특수건조물침입 등 혐의를 받는 김 모 씨와 소 모 씨에게 징역 1년 6개월과 징역 1년을 각각 선고했다. chogiza@newspim.com 2025-05-16 07:26
사진
사직 전공의 복귀 수요조사 마무리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대한수련병원협의회가 정부에 전공의 복귀를 위한 '5월 추가 모집'을 공식 건의할 예정이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전공의 수련병원 단체인 대한수련병원협의회는 사직 전공의를 대상으로 복귀 희망 여부를 조사한 설문 결과를 마무리했다.  복지부는 지난 7일 이달 중 복귀를 원하는 사진전공의를 대상으로 복귀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전공의 수련은 3월과 9월에 각각 상·하반기 일정을 게시한다. 만일 사직전공의가 하반기 모집에 맞춰 복귀하면 다음 해 2월에 실시되는 전문의 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 이에 일부 사직 전공의들이 복귀할 방안을 요구했고, 복지부가 추가 모집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다만 복지부는 복귀 의사가 확인돼야 추가 모집을 검토하겠다는 조건을 내걸었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정부가 복귀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는 사직 전공의를 대상으로 추가 모집을 실시할 예정이다. 사진은 6일 서울시내 한 대학병원의 의료진 모습. 2025.02.06 yooksa@newspim.com 이에 따라 수련병원협의회는 사직 전공의 복귀 의사를 파악하기 위해 지난 8일부터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에 참여한 전공의 중 절반가량은 '조건부 복귀'를 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5월 복귀 시 수련 인정,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재논의, 제대 후 복귀 보장 등을 조건으로 내세웠다. 아직까지 실제 복귀 의사를 밝힌 사직 전공의는 미미한 수준이다. 앞서 대한의학회가 시행한 설문 조사에서 복귀 의사를 밝힌 사직 전공의는 300명에 불과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전국 수련 병원에서 근무 중인 전공의는 올해 3월 기준 1672명으로 지난해 전공의 집단 사직 이전 1만3531명 대비 12.4% 수준이다. 전공의 사직 이전의 50%(6765명)까지 돌아오려면 최소 5093명이 돌아와야 한다. 익명을 요청한 한 사직 전공의는 "바뀐 게 없는데 복귀하겠느냐"며 "복귀하지 않겠다는 전공의가 대부분"이라고 상황을 설명했다. 한편, 복지부는 의료 단체들의 설문 조사 결과를 받은 후 추가 모집 결정을 구체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다만 복귀 마지노선이 5월인 점을 감안해 조속히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오늘 오후 기준 전달 받은 설문 결과는 없다"며 "설문 조사 결과를 받게 되면 검토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sdk1991@newspim.com 2025-05-14 17:18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