닮고도 다른 두 회장의 행보, 누가 웃을까
유경선 회장은 선종구 회장을 일컬어 “탁월한 업적과 훌륭한 인품을 존경해 멘토로 삼기도 하고 하이마트 회장으로 승진시켜 드렸으며 나아가 유진그룹에서도 역할을 해 주시면 좋겠다는 생각까지 가지고 있었다”고 말했을 정도다.
실제 이 둘은 사실 닮은 점이 더 많다는 것이 업계의 시각이다. 특히 재계에서 손꼽히는 성공신화의 주역으로 꼽혔던 인물이라는 점에서 그렇다.
유 회장은 재계에서 M&A의 귀재로 통했던 인물이다.
유재필 창업주의 장남인 그는 영양제과가 모체였던 유진그룹을 레미콘과 시멘트 등 건설 소재 전문그룹으로 키운 주역이다.
![]() |
유경선 유진그룹 회장· 선종구 하이마트 회장 |
유 회장의 남다른 M&A 경력은 지난 2004년 유진기업보다 규모가 더 큰 고려시멘트를 인수하면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이후 2007년 서울증권(현 유진투자증권), 로젠택배, 한국통운, 한국GW물류 등을 잇따라 인수했다. 하이마트의 인수는 이중에서도 백미다. 재계에서는 ‘새우가 고래를 삼켰다’는 평가가 꼬리처럼 따라다녔다. 유진그룹의 재계서열도 단번에 30위권으로 상승했다.
하이마트 인수로 유 회장과 인연을 맺게 된 선 회장도 재계의 ‘성공신화’로 꼽히는 인물 중 하나다.
전자제품 유통 전문기업인 하이마트는 지난해 매출액 3조500억, 영업이익 2150억원을 기록하며 카테고리킬러 업체로서는 처음으로 매출 3조원을 돌파했다. 여기까지 올라오기까지 선 회장의 끝없는 노력이 뒷받침 됐기 때문에 가능했다.
고객중심과 현장결재의 스피드경영으로 위기를 극복해왔으며, 촌스럽지만 고객에게 웃음을 주는 스토리로 광고를 제작하며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선 회장은 "세상을 웃으며 살 줄 알아야 한다. 하이마트는 IMF를 웃음으로 극복했다. 오늘의 경제현실도 웃는 얼굴로 긍정적으로 생각하며 이겨낼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긍정적 마인드가 지금의 하이마트를 지탱해 온 원동력이 됐으리라 짐작하게 한다.
두 인물의 또 다른 공통점은 바로 굴곡 역시 적지 않았다는 점이다.
유 회장은 적극적인 기업 인수합병(M&A)를 통해 몸집을 늘렸지만 하이마트 인수 이후 글로벌 경기 악화등으로 악화된 재무구조가 다소 어려워 지기도 했다. 결국 인수했던 유진투자증권 등 보유자산을 매각하는 처지에 이르렀고 채권단과 재무구조약정을 체결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유진그룹의 제반 상황은 여전히 평탄치만은 않다. 아직까지 재무건전성이 회복되지 않았고 주력 사업인 레미콘 분야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이마트는 IMF 외환위기 무렵 출범했다. 당시 대우전자 국내영업부문 판매본부장이던 선종구(宣鍾九) 회장과 직원들은 눈 내리는 서울역에서 모여 생존권을 호소했지만 외면당했다. 이들은 대우전자에서 분리되면서 독자적으로 살길을 모색해야 했다.
선 회장은 당시 임직원들에게 “지금 우리는 토사구팽(兎死狗烹) 신세다. 이대로 있으면 모두 죽는다. 불타는 배에서 뛰어내려 죽을 힘을 다해 파도를 헤쳐 나가야 한다. 위기를 기회로 만들자. 생즉사 사즉생(生卽死 死卽生)으로 견딘다면 머지 않아 최고의 유통업체가 될 것이다"라며 임직원들을 독려했다.
외환위기 이후 하이마트는 연간 매출액은 정체 상태를 보이는 힘든 시기를 보냈다. 선종구 회장은 위기 타개책으로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효과는 확실한’ 승부수를 던졌다. 경쟁력의 원천이 ‘사람’에게 있다는 기본 원칙을 실천하며 위기를 기회로 변모시켜 나아갔다.
이미 유 회장과 선 회장의 관계는 나빠질 대로 나빠졌다는 것이 지배적인 인식이지만 업계일각에서는 유 회장과 선 회장이 극적 합의를 통한 재결합의 가능성이 여전히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닮고도 다른 두 경영자의 행보에 시선이 모인다.
▶주식정보넷.단2개월 830% 수익기록. 91%적중 급등속출중 >특급추천주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손희정 기자 (sonhj@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