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김사헌 기자] 유럽중앙은행(ECB)이 일본 원전 위기나 중동 불안 그리고 유로존 주변국의 고전에도 불구하고 긴축에 나설 것이라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오는 4월 7일 정책회의에서 금리인상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유로존의 금리인상 주기의 재개 소식은 무엇보다 주식시장의 투자자들이 경각심을 가져야 할 재료라는 지적이 제기된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8일자 기사를 통해 지적했다.
과거에도 그랬지만, 긴축 사이클에서 주식시장이 동요하는 것은 이번에도 다르지 않을 것이란 점에서다.
물론 이번 경우는 과거와 크게 다른 점이 있다. 크레디트스위스(CS)의 분석에 따르면 과거에는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유럽에 비해 금리인상 시점이 평균 18개월 정도 빨랐는데, 이번에는 반대 양상이다. 게다가 유럽은 재정긴축 양상을 배경으로 금리도 같이 올리는 양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유럽 증시, 그것도 재정적으로 취약한 나라의 증시는 고전을 면치 못할 것이란 판단이 우세하다.
모간스탠리는 과거 경험을 분석한 결과 유럽 증시 조정 폭은 2004년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때의 8%부터 1976년 21%까지 다양하고, 조정기간도 1980년의 54일 정도에서 1994년의 400일까지 나타났다고 전했다.
크레디트스위스의 미국 전략가는 금리가 인상될 경우 미국 주가지수가 약 10% 정도 조정받는 것을 기본적인 시나리오로 봤다.
금리인상 개시 후에는 업종 순환매도 당연히 전개된다. 유럽의 경우 헬스케어와 통신주가 상대적으로 견조한 특징을 보인 반면 원자재, 공업, 소비 및 에너지주가 고전했다고 HSBC는 분석했다.
유럽 증시는 이미 금리인상 우려를 가격에 충분히 반영하고 있으며 오히려 다른 지역 증시가 더 충격을 크게 받을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된다.
스톡스 유럽600 지수는 지난 주말 종가 기준으로 올들어 0.1% 오르는데 그쳤고, 이는 팩트셋 자료에 의거할 경우 올 예상 기업순익 대비 11배 수준으로 2009년 초반의 어려운 시점과 유사한 수준이다.
한편 글로벌 증시가 유럽 외에 연준의 막대한 양적완화 정책으로 지지되고 있다는 점에서, ECB의 정책 결정보다는 4월 27일 버냉키 의장의 첫 정례 공개 언론브리핑이 더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지적되 제기되고 있다.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수익률대회 1위 전문가 3인이 진행하는 고수익 증권방송!
▶검증된 전문가들의 실시간 증권방송 `와이즈핌`
[뉴스핌 Newspim]김사헌 기자 (herra7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