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론자 찰스 다윈이 말한 모든 생물의 살아남기 위한 싸움, 생존경쟁,적자생존이 시작됐다. 살아남기 위해 부단히 싸우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 개인이든 기업이든 가혹한 경쟁에서 이겨야만 살아남을 수 있는 시기. 바로 지금 증권업계의 얘기다.
최근 자문형랩 수수료 적정성 논란으로 촉발된 금투업계 수수료 분쟁. 공급과 수요의 논리속에 증권사들의 제각각 속내와 경쟁양상, 선의의 경쟁구도로 가기 위한 요건, 이로 인한 소비자 선택의 향방 등 수수료를 둘러싼 업계내 역학관계를 짚어봤다. <편집자주>
[뉴스핌=황의영 기자] '랩 어카운트 수수료 인하, 호재일까 악재일까?'
최근 대형 증권사를 필두로 자문형 랩 수수료를 둘러싼 논란이 그칠 줄을 모른다. 시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보다 낮은 수수료를 적용하느냐, 아니면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느냐가 그것이다.
일단 자문형 랩 수수료가 낮아지면 고객이 부담하는 비용이 줄어들기 때문에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기엔 충분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수수료 인하 경쟁이 랩 시장 판도를 뒤바꿀지에 대해 증권가는 미묘한 시각차를 보이고 있다.
이슈가 촉발된 뒤 실제 고객을 직접 응대하는 일선 영업지점 측의 분위기 또한 다소 엇갈린다. 수수료 인하 카드를 꺼내든 미래에셋증권 등 지점에는 문의전화가 잇따른 반면 그외 증권사 지점은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수수료 인하 vs 서비스 강화..업계 판도변화는?
우선 시장의 관심은 수수료 인하 정책이 '먹혀드느냐'에 있다. 현대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이 수수료를 낮추겠다는 입장을 내놓자 증권 담당 애널리스트들도 저마다 계산기를 두드리느라 분주한 모습이다. 하지만 반응은 제각각이다.
KTB투자증권 조성경 연구원은 "자문형 랩은 자문사의 포트폴리오를 그대로 가져온 경우가 많은 만큼 수수료가 싼 쪽으로 자금이 몰리는 경향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며 "장기적으로 수수료 인하 추세는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조 연구원은 "현대증권의 경우 랩 수수료의 비중이 전체 수익 대비 낮은 비중을 차지해 실제 이익이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며 "오히려 저가 공략으로 고객자산을 확보한다면 이익기여도 상승에 효과를 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현대증권 측과 대치되는 삼성증권의 취지에 힘을 실어주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수수료 인하보다는 판매 이후 철저한 고객관리를 통해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우리투자증권 채민경 연구원은 "수수료 인하 경쟁이 랩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자문형 랩의 비중이 가장 큰 삼성증권이 수수료를 낮추지 않는 데다, 상품 특성상 서비스의 질이 중시되는 측면이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하이투자증권 김지현 연구원은 "수수료 차등 적용, 일대일 계약 등 상품 특성을 감안할 때 고액 자산가를 많이 확보한 증권사는 수수료 민감도가 제한적일 것"이라며 "수수료 인하보다는 제공하는 서비스, 사후관리, 브랜드 이미지 등이 핵심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한편, 이번 수수료 경쟁이 장기적으로 증권사간 서비스 차별화의 계기로 작용할 것이란 의견도 나왔다. 키움증권 서영수 연구원은 "대부분의 증권사가 사후 관리보다 단순 판매에 주력해왔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단기적으로 수수료 인하 경쟁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프라이빗뱅커(PB)를 확보한 증권사의 경우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한편 성과보수 시스템의 적용 등을 통해 높은 수수료를 유지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 고객 반응은 '글쎄'
그렇다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게 되는 고객들의 체감도는 어느 정도일까. 이 또한 수수료 인하 움직임을 보인 증권사 지점과 질적 서비스를 중요시하는 증권사 지점간의 차이가 존재했다.
미래에셋증권 지점 관계자는 "기존 랩어카운트 거래고객 뿐만 아니라 신규고객도 자사의 자문형 랩수수료 인하 소식을 반가워하며 많은 관심을 보이며 문의하고 있다"며 "고객을 위한 결정으로 판단하고 있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반면 삼성증권 측에서는 수수료 문의 자체가 별로 없고 간혹 있어도 '크게 개의치 않는 모습'이라고 전했다. 우리투자증권 지점 관계자도 "기사를 보면 수수료 인하 문제가 이슈화되고 있지만 실제 고객들은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다만 전체적으로 시장이 꺾이다보니 작년 12월에 비해 랩 관련 문의 빈도가 줄어들긴 했다"며 "하지만 이는 시장상황 때문이지, 수수료 인하 문제와 관련된 것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관망파'에 속하는 동양종금증권 측 분위기 역시 비슷했다. 동양종금증권 지점 관계자는 "현장에서 느끼는 건 수수료가 비싸서 투자하지 않겠다는 고객은 없다는 점"이라며 "주 고객이 고액 자산가들인 만큼 편입 종목, 사후 관리 등 서비스 측면에 더 신경쓰는 듯하다"고 말했다.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수익률대회 1위 전문가 3인이 진행하는 고수익 증권방송!
▶검증된 전문가들의 실시간 증권방송 `와이즈핌`
[뉴스핌 Newspim]황의영 기자 (apex@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