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증권(대표이사 유상호)이 글로벌 인재영입에 시동을 걸었다.
한국투자증권은 14일 국제영업 법인영업 및 국내 리서치 부문에 최고수로 평가되는 임춘수(사진) 전 삼성증권 글로벌리서치본부장을 전격 영입해 국내외 영업을 담당하는 GIS(Global Institution Sales) 그룹장을 맡겼다고 밝혔다.
임춘수 전무는 외국 금융기관에서 활동한 한국계 애널리스트 1세대로서 국내 리서치 시스템과 역량을 한단계 높였으며, 리서치 역량을 바탕으로 해외 영업을 한 단계 도약시킨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임 전무는 지난 2002년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장에 취임한 이후 국ㆍ영문 리포트 동시 발간, 내부 컴플라이언스 시스템 정비 등 리서치 분야의 체계를 다듬고 내부 역량을 강화해 삼성증권이 홍콩 유력 경제지인 ‘아시아머니’에서 선정하는 한국 리서치 부문 및 해외 주식영업 부문에서 4년 연속 1위를 차지하고, Institutional Investor Poll에서도 3년연속 1위를 차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인물이다.
그는 1965년생으로 연세대 경영학과를 졸업, U.C. 버클리교대학원 경영학 석사, KPMG 뉴욕지사 공인회계사, 골드만삭스 홍콩 및 한국지점 리서치센터장,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장, 삼성증권 국내 및 해외 법인 본부장을 역임한 바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이미 지난달 미국 뉴욕 골드막삭스 출신인 한승훈 연구원을 반도체 담당 애널리스트로 영입한 바 있다. 한승훈 연구원은 연세대를 졸업, 골드만삭스 뉴욕 본사 및 한국 지점에서 10년간 글로벌 리서치를 담당했었다.
또한 이달 말 메릴린치증권 출신의 박상희씨를 컨슈머담당 애널리스트로 영입할 계획이다. 박상희 애널리스트는 1999년 LG투자증권(현 우리투자)에 입사, 코스닥 중소형 담당 애널리스트를 시작으로 CLSA증권, 골드만삭스, 메릴린치를 거친 몇 안되는 여성 글로벌 인재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회사 관계자는 이들 이외에도 현재 뉴욕소재 탑클라스의 사모헤지펀드사에서 부동산, 대체에너지 산업투자 분야의 글로벌 전문가 영입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이 회사는 300억달러 규모의 자산을 운용하는 사모헤지펀드로 뉴욕증시 상장되어 있으며 미국 사모펀드 중 대형 그룹이다.
그는 법학박사로 세계 최대 로펌중 하나인 SKADDEN에서 M&A 및 기업금융 변호사로 근무했고, 모건스탠리에서도 근무했던 국제적 전문역량을 소유한 인물로 알려지고 있다.
이처럼 한국투자증권의 글로벌 인재 영입은 ‘2009년 제2의 도약’이란 경영목표 하에 국제적인 글로벌 IB증권사로 본격 부상한다는 전략의 일환이다.
그리고 이러한 전략은 유상호 사장의 글로벌 경영관이 크게 작용했다. 지난 1992년부터 1999년까지 7년여 동안 런던에서 글로벌 증권사와 경쟁해 ‘월드 베스트 세일즈맨’으로 역량을 발휘한 그는 서브프라임에서 시작된 금융위기의 태풍 앞에 철옹성 같던 글로벌 IB들이 흔들려 이들에게 집중 되었던 인적, 물적 자원들이 이탈하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우수한 글로벌 인재들을 흡수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판단하고 있다.
유상호 사장은 “외국계 IB들이 쇠퇴함에 따라 국제적 경험의 금융인을 영입, 신규 비즈니스를 창출할 기회가 도래했다”며 “진정한 세계적 증권사 도약을 위해 글로벌 인재 영입을 통해 국제업무, 리서치, Deal 역량 등을 국제적 수준으로 향상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임춘수 전무는 외국 금융기관에서 활동한 한국계 애널리스트 1세대로서 국내 리서치 시스템과 역량을 한단계 높였으며, 리서치 역량을 바탕으로 해외 영업을 한 단계 도약시킨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임 전무는 지난 2002년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장에 취임한 이후 국ㆍ영문 리포트 동시 발간, 내부 컴플라이언스 시스템 정비 등 리서치 분야의 체계를 다듬고 내부 역량을 강화해 삼성증권이 홍콩 유력 경제지인 ‘아시아머니’에서 선정하는 한국 리서치 부문 및 해외 주식영업 부문에서 4년 연속 1위를 차지하고, Institutional Investor Poll에서도 3년연속 1위를 차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인물이다.
그는 1965년생으로 연세대 경영학과를 졸업, U.C. 버클리교대학원 경영학 석사, KPMG 뉴욕지사 공인회계사, 골드만삭스 홍콩 및 한국지점 리서치센터장,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장, 삼성증권 국내 및 해외 법인 본부장을 역임한 바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이미 지난달 미국 뉴욕 골드막삭스 출신인 한승훈 연구원을 반도체 담당 애널리스트로 영입한 바 있다. 한승훈 연구원은 연세대를 졸업, 골드만삭스 뉴욕 본사 및 한국 지점에서 10년간 글로벌 리서치를 담당했었다.
또한 이달 말 메릴린치증권 출신의 박상희씨를 컨슈머담당 애널리스트로 영입할 계획이다. 박상희 애널리스트는 1999년 LG투자증권(현 우리투자)에 입사, 코스닥 중소형 담당 애널리스트를 시작으로 CLSA증권, 골드만삭스, 메릴린치를 거친 몇 안되는 여성 글로벌 인재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회사 관계자는 이들 이외에도 현재 뉴욕소재 탑클라스의 사모헤지펀드사에서 부동산, 대체에너지 산업투자 분야의 글로벌 전문가 영입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이 회사는 300억달러 규모의 자산을 운용하는 사모헤지펀드로 뉴욕증시 상장되어 있으며 미국 사모펀드 중 대형 그룹이다.
그는 법학박사로 세계 최대 로펌중 하나인 SKADDEN에서 M&A 및 기업금융 변호사로 근무했고, 모건스탠리에서도 근무했던 국제적 전문역량을 소유한 인물로 알려지고 있다.
이처럼 한국투자증권의 글로벌 인재 영입은 ‘2009년 제2의 도약’이란 경영목표 하에 국제적인 글로벌 IB증권사로 본격 부상한다는 전략의 일환이다.
그리고 이러한 전략은 유상호 사장의 글로벌 경영관이 크게 작용했다. 지난 1992년부터 1999년까지 7년여 동안 런던에서 글로벌 증권사와 경쟁해 ‘월드 베스트 세일즈맨’으로 역량을 발휘한 그는 서브프라임에서 시작된 금융위기의 태풍 앞에 철옹성 같던 글로벌 IB들이 흔들려 이들에게 집중 되었던 인적, 물적 자원들이 이탈하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우수한 글로벌 인재들을 흡수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판단하고 있다.
유상호 사장은 “외국계 IB들이 쇠퇴함에 따라 국제적 경험의 금융인을 영입, 신규 비즈니스를 창출할 기회가 도래했다”며 “진정한 세계적 증권사 도약을 위해 글로벌 인재 영입을 통해 국제업무, 리서치, Deal 역량 등을 국제적 수준으로 향상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