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대외채권도 2년만에 1000억달러 아래로..."수출업체 선물환 매도 영향"
은행권의 단기 외화차입이 급증하면서 우리나라의 대외채무가 매 분기 사상최고치를 경신하며 2,500억달러에 육박했다.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비율과 유동외채비율 또한 전년말보다 15%포인트 이상 급증해 순대외채권 규모도 2년만에 1,000억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재경부는 건전성 감독 강화 조치로 9월 이후 단기외채 증가폭이 크게 완화되는 추세라며 진화에 나섰다.
그러나 과도한 단기외채가 신용평가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만큼 건전성 감독을 강화해 단기외채 축소 노력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 대외채무 2,500억달러 육박...올해에만 585억달러 늘어 ◆
22일 재정경제부가 발표한 ‘대외채무채권 현황(잠정)’에 따르면 올 3/4분기말 현재 총대외채무는 분기 중 193억달러 증가한 2,494억달러를 기록했다.
우리나라의 대외채무는 외환위기 당시인 1997년말 1,742억달러까지 증가했다가 이후 감소추세를 보여 2001년 말에는 1,287억달러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2002년부터 다시 증가하기 시작해 2003년말 1,575억달러, 2004년말 1,722억달러, 2005년말 1,898억달러까지 급증했다 올해 2,000억달러대에 진입, 분기마다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올 1/4분기 131억달러, 2/4분기 261억달러, 3/4분기 193억달러가 각각 늘어 올해에만 586억달러가 늘었다.
총 2,494억달러 대외채무 가운데 장기외채는 비거주자의 국채투자, 기업의 선박 수출선수금 증가 등으로 3분기 중 61억달러가 늘어 1,414억달러를 나타냈다.
단기외채 증가는 더 커서 3분기 중 은행부문을 중심으로 131억달러나 늘어 총 1,080억달러를 기록했다.
특히 올해 단기외채는 421억달러나 급증, 장기채 증가액 175억달러의 두배를 초과하는 등 외채 증가에 가속도를 붙이는 역할을 하고 있어 주목된다.
총외채 대비 단기외채 비중은 43.3% 수준. 대부분이 은행권 차입(135억달러)에 기인하며 은행부문 중 외국은행 국내지점이 57%를 차지했다.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의 장단기 채무비율은 2:1 수준을 꾸준히 유지해 왔지만 올 들어 단기채무가 급증하면서 장기채무와의 비중 격차가 급격히 줄어드는 모습이다.
반면 분기 중 대외채권은 채무의 절반 수준인 101억달러 증가에 그쳐 총 3,460억달러를 기록했다. 이에 대외채권에서 대외채무를 뺀 순대외채권은 분기 중 92억달러가 감소해 966억달러를 기록, 지난 2004년말 이후 처음으로 1,000억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우리나라의 순대외채권은 외환위기 당시인 1997년말에는 -681억달러였지만 2000년말 188억달러를 흑자 전환했고 2004년말에는 1,000억달러를 돌파했었다.
이처럼 대외채무가 급증하면서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비율은 지난해 말(31.3%)보다 16%포인트나 급증한 47.3%를 나타냈다. 외환보유액 대비 유동외채비율 역시 16.3%포인트 급증한 57.8%다.
재경부는 단기외채비율과 유동외채비율이 각각 60%, 100% 미만이면 안정 수준이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하는 모습이지만 증가속도가 너무 빨라 내심 우려도 큰 상황이다.
◆ 단기외채 급증 원인은 수출업체의 선물환 매도 ◆
이처럼 단기외채가 급증한 이유를 재경부는 수출업체의 과도한 선물환 매도에서 우선 찾고 있다.
국내 수출업체들이 원화절상 기대심리에 따라 장래에 받을 수출대금 등을 미리 외환시장에 매도했고, 이 선물환을 매입한 은행들은 포지션 조정을 위해 현물환을 매각해야 하는데 이 자금을 해외에서 단기로 차입했다는 것.
좀더 전문적인 용어로는 “금리재정거래와 연계된 포지션 조정 목적 차입”이라고 재경부는 설명했다.
또한 일본의 저금리를 활용한 엔캐리 트레이딩이 활발하면서 은행들이 외화대출 재원마련을 위해 해외차입에 적극 나선 것도 단기외채 급증의 원인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재경부는 대외지급능력, 건전성 등의 지표상으로는 안정적이어서 유동성 위기 등의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내다봤다.
우선 외환위기 때와 같은 미스매칭(miss matching) 문제가 없고, 포지션 조정목적 차입은 만기에 자동적으로 해소되며, 외은지점 차입은 주로 외국본점으로부터 차입하므로 유동성 부족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것.
대외지급 측면에서도 외환보유액이 크게 증가해 순채권국으로 전환한 만큼 큰 문제가 없다는 전망이다.
재경부는 “9월 이후 통계수치는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그 동안 건전성 감독 강화 등에 따라 단기외채 증가폭이 크게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내다봤다.
다만 재경부는 “늘어난 단기외채 자체가 ‘자기기대 실현(self-fulfilling)’ 현상과 결합돼 우리나라의 신용평가 등에 부정적 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를 사전에 차단할 필요가 있다”며 “앞으로 정부는 시장 참여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확대해 원화절상 심리를 불식시키는 한편, 건전성 감독을 강화해 단기외채 축소 노력에 만전을 기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비율과 유동외채비율 또한 전년말보다 15%포인트 이상 급증해 순대외채권 규모도 2년만에 1,000억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재경부는 건전성 감독 강화 조치로 9월 이후 단기외채 증가폭이 크게 완화되는 추세라며 진화에 나섰다.
그러나 과도한 단기외채가 신용평가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만큼 건전성 감독을 강화해 단기외채 축소 노력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 대외채무 2,500억달러 육박...올해에만 585억달러 늘어 ◆
22일 재정경제부가 발표한 ‘대외채무채권 현황(잠정)’에 따르면 올 3/4분기말 현재 총대외채무는 분기 중 193억달러 증가한 2,494억달러를 기록했다.
우리나라의 대외채무는 외환위기 당시인 1997년말 1,742억달러까지 증가했다가 이후 감소추세를 보여 2001년 말에는 1,287억달러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2002년부터 다시 증가하기 시작해 2003년말 1,575억달러, 2004년말 1,722억달러, 2005년말 1,898억달러까지 급증했다 올해 2,000억달러대에 진입, 분기마다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올 1/4분기 131억달러, 2/4분기 261억달러, 3/4분기 193억달러가 각각 늘어 올해에만 586억달러가 늘었다.
총 2,494억달러 대외채무 가운데 장기외채는 비거주자의 국채투자, 기업의 선박 수출선수금 증가 등으로 3분기 중 61억달러가 늘어 1,414억달러를 나타냈다.
단기외채 증가는 더 커서 3분기 중 은행부문을 중심으로 131억달러나 늘어 총 1,080억달러를 기록했다.
특히 올해 단기외채는 421억달러나 급증, 장기채 증가액 175억달러의 두배를 초과하는 등 외채 증가에 가속도를 붙이는 역할을 하고 있어 주목된다.
총외채 대비 단기외채 비중은 43.3% 수준. 대부분이 은행권 차입(135억달러)에 기인하며 은행부문 중 외국은행 국내지점이 57%를 차지했다.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의 장단기 채무비율은 2:1 수준을 꾸준히 유지해 왔지만 올 들어 단기채무가 급증하면서 장기채무와의 비중 격차가 급격히 줄어드는 모습이다.
반면 분기 중 대외채권은 채무의 절반 수준인 101억달러 증가에 그쳐 총 3,460억달러를 기록했다. 이에 대외채권에서 대외채무를 뺀 순대외채권은 분기 중 92억달러가 감소해 966억달러를 기록, 지난 2004년말 이후 처음으로 1,000억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우리나라의 순대외채권은 외환위기 당시인 1997년말에는 -681억달러였지만 2000년말 188억달러를 흑자 전환했고 2004년말에는 1,000억달러를 돌파했었다.
이처럼 대외채무가 급증하면서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비율은 지난해 말(31.3%)보다 16%포인트나 급증한 47.3%를 나타냈다. 외환보유액 대비 유동외채비율 역시 16.3%포인트 급증한 57.8%다.
재경부는 단기외채비율과 유동외채비율이 각각 60%, 100% 미만이면 안정 수준이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하는 모습이지만 증가속도가 너무 빨라 내심 우려도 큰 상황이다.
◆ 단기외채 급증 원인은 수출업체의 선물환 매도 ◆
이처럼 단기외채가 급증한 이유를 재경부는 수출업체의 과도한 선물환 매도에서 우선 찾고 있다.
국내 수출업체들이 원화절상 기대심리에 따라 장래에 받을 수출대금 등을 미리 외환시장에 매도했고, 이 선물환을 매입한 은행들은 포지션 조정을 위해 현물환을 매각해야 하는데 이 자금을 해외에서 단기로 차입했다는 것.
좀더 전문적인 용어로는 “금리재정거래와 연계된 포지션 조정 목적 차입”이라고 재경부는 설명했다.
또한 일본의 저금리를 활용한 엔캐리 트레이딩이 활발하면서 은행들이 외화대출 재원마련을 위해 해외차입에 적극 나선 것도 단기외채 급증의 원인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재경부는 대외지급능력, 건전성 등의 지표상으로는 안정적이어서 유동성 위기 등의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내다봤다.
우선 외환위기 때와 같은 미스매칭(miss matching) 문제가 없고, 포지션 조정목적 차입은 만기에 자동적으로 해소되며, 외은지점 차입은 주로 외국본점으로부터 차입하므로 유동성 부족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것.
대외지급 측면에서도 외환보유액이 크게 증가해 순채권국으로 전환한 만큼 큰 문제가 없다는 전망이다.
재경부는 “9월 이후 통계수치는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그 동안 건전성 감독 강화 등에 따라 단기외채 증가폭이 크게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내다봤다.
다만 재경부는 “늘어난 단기외채 자체가 ‘자기기대 실현(self-fulfilling)’ 현상과 결합돼 우리나라의 신용평가 등에 부정적 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를 사전에 차단할 필요가 있다”며 “앞으로 정부는 시장 참여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확대해 원화절상 심리를 불식시키는 한편, 건전성 감독을 강화해 단기외채 축소 노력에 만전을 기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