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계, 환급·기준 불명확성 문제 제기
경남도, 정부에 기업 지원책 전달 예정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마스가(MASGA) 프로젝트와 관련해 지역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며 정부 차원의 대응 강화를 주문했다.
경남도는 20일 도청에서 '한미 관세협상 대응 전략회의–마스가 프로젝트 대응'을 열고 조선·자동차·철강·가전 등 주요 산업 관계자 25명이 참석한 가운데 사업 추진 현장의 문제점과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 |
| 박완수 경남지사(오른쪽 세 번째)가 20일 도청에서 '한미 관세협상 대응 전략회의 - 마스가 프로젝트 대응'을 주재하고 있다. [사진=경남도] 2025.11.20 |
박 지사는 모두발언에서 "한미 정상회담과 관세 협상 과정에서 다양한 변화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며 "단기적으로는 지역 기업에 기회가 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인력과 기업의 해외 이전 우려도 크다. 기업별 필요 지원을 신속히 정리해 중앙정부에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조선업계를 중심으로 환급체계, 기술요건, 전력공급 등 제도·시설 개선 요구가 집중됐다. 한화오션은 미국 내 환급 절차가 복잡해 일부 기업이 제때 환급을 받지 못할 가능성을 지적하고, "정부기관이 단일 창구로 환급권을 관리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박 지사는 "대통령실과 중앙부처, 시도지사협의회에 관련 내용을 직접 건의하겠다"고 답했다.
케이조선은 미국 연안 선박 사업 참여 가능성을 언급하며 "미국 기자재 기준이 불명확하다"고 지적했다. 박 지사는 "도는 기업별 의견을 정리해 협상 과정에서 반영되도록 정부와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삼양마린은 "MRO 사업이 진행되는 가포항의 공급전력이 부족해 비상발전기를 장기간 가동 중"이라며 안정적 전력 인프라 지원을 요청했다.
박 지사는 "사업 지속을 위해 전력 공급망 구축이 필수"라며 실무 검토를 지시했고, 도 관계자는 "정부 차원의 지원을 건의하고 내년도 중소기자재 지원사업을 통해 간접 지원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노동계(한국노총·민주노총 경남지역본부)는 산업 해외 이전에 따른 일자리 감소를 우려했고, 도는 핵심 기술인력 양성과 고용안정 대책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경남도는 회의 내용을 토대로 한미 조선산업 협력 방안과 기업별 역할, 기반시설 지원 필요성을 포함한 대응 전략을 마련해 중앙정부와 관계기관에 전달할 예정이다. 박 지사는 "경남 기업이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서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회의 말미에는 경남도, 경남상공회의소협의회, 경남경영자총협회가 공동 명의로 '관세 인상 대응 촉구 성명서'를 발표하고, 기술경쟁력 강화와 기업 참여 확대를 위한 중앙정부의 적극적 지원을 요청했다.
news234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