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1000대 기업 한·미·일·중 기업경쟁력 설문조사 결과
[서울=뉴스핌] 김정인 기자 = 우리나라의 10대 수출 주력업종의 기업경쟁력이 2030년에는 전 부문 중국에 뒤처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는 17일 10대 수출 주력업종을 영위하는 매출액 1000대 기업을 대상(200개사 응답)으로 한 '한·미·일·중 경쟁력 현황 및 전망 조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기업들은 올해 수출 최대 경쟁국으로 중국(62.5%)을 가장 많이 꼽았고, 다음으로 ▲미국(22.5%) ▲일본(9.5%)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5년 뒤, 2030년의 최대 수출 경쟁국을 묻는 질문에는 ▲중국(68.5%) ▲미국(22.0%) ▲일본(5.0%)으로 중국을 꼽는 응답 비중이 6.0% 포인트 상승(62.5%→68.5%) 했다. 이는 앞으로 중국과의 수출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것을 의미한다.
한국의 기업경쟁력을 100으로 가정하고 미국, 일본, 중국의 기업경쟁력 수준을 묻는 질문에 대해 기업들은 2025년 현재에는 ▲미국 107.2 ▲중국 102.2 ▲일본 93.5라고 응답했고, 2030년에는 ▲미국 112.9 ▲중국 112.3 ▲일본 95.0으로 전망했다.
![]() |
| 한국경제인협회 [사진=뉴스핌DB] |
한경협은 "국내 기업들은 우리나라의 기업경쟁력이 이미 미국과 중국에 뒤처지고 있으며, 향후 5년 후에는 그 격차가 더욱 벌어질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특히, 5년 후 중국의 기업경쟁력은 미국과 대등한 수준으로 발전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고 해석했다.
한국의 업종별 기업경쟁력을 100으로 보고 중국과의 업종별 기업경쟁력을 비교해보면, 2025년 현재 중국은 철강(112.7), 일반기계(108.5), 이차전지(108.4), 디스플레이(106.4), 자동차·부품(102.4) 등 5개 업종에서 한국보다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반도체(99.3), 전기·전자(99.0), 선박(96.7), 석유화학·석유제품(96.5), 바이오헬스(89.2) 등 5개 업종은 한국의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5년 뒤인 2030년에는 10개 주력업종 모든 분야에서 중국의 경쟁력이 한국 보다 높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의 업종별 기업경쟁력을 100으로 보고, 미국과 비교한 결과, 2025년 현재 한국이 미국보다 경쟁력이 앞선 분야는 철강(98.8), 선박(90.8), 이차전지(89.5) 등의 3개 업종에 불과했다. 그 외 나머지 반도체(118.2), 바이오헬스(115.4) 등 7개 업종에서는 미국이 우위를 보였다.
한편, 2030년에는 미국이 철강 부문(100.8)의 경쟁력이 한국을 앞지를 것으로 전망되면서, 한국이 미국보다 경쟁력이 높은 업종은 선박(90.0)과 이차전지(93.4) 등 2개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분야별 기업경쟁력 비교 결과, 중국은 가격경쟁력, 생산성 등에서, 미국은 상품브랜드, 전문인력, 핵심기술 등에서 한국에 비해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을 최대 경쟁국이라고 답변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025년 현재 한국 대비 중국의 분야별 경쟁력(한국=100)은 ▲가격경쟁력(130.7) ▲생산성(120.8) ▲정부지원(112.6) ▲전문인력(102.0) ▲핵심기술(101.8) ▲상품브랜드(96.7)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2030년에는 ▲가격경쟁력(130.8) ▲생산성(123.8) ▲정부지원(115.1) ▲전문인력(112.4) ▲핵심기술(111.4) ▲상품브랜드(106.5)로 답했다. 한경협은 이같은 조사결과를 두고 "현재 한국은 6개 분야 중 상품브랜드에서만 중국에 비교우위가 있는데, 5년 후에는 이마저도 중국에 밀릴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미국을 최대 경쟁국으로 응답한 기업들은 2025년 한국 대비 미국의 분야별 경쟁력(한국=100)은 ▲상품브랜드(132.0) ▲전문인력(126,2) ▲생산성(124.7) ▲핵심기술(124.0) ▲정부지원(108.9) ▲가격경쟁력(102.1) 순으로 나타났다.
2030년에는 ▲상품브랜드(133.9) ▲전문인력(130.0) ▲핵심기술(129.3) ▲생산성(124.5) ▲정부지원(116.8) ▲가격경쟁력(111.1)으로 전망했다. 5년 후 생산성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한·미 간 경쟁력 격차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다.
기업들은 경쟁력 제고의 주요 걸림돌로 '국내 제품경쟁력 약화'(21.9%)와 '대외리스크 증가'(20.4%)를 꼽았다. 이어 ▲인구감축 등에 따른 내수 부진(19.6%) ▲인공지능(AI) 등 핵심기술인력 부족(18.5%) ▲ 경쟁국 대비 낙후된 노동시장 및 기업법제(11.3%) 등을 지적했다.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부 지원과제로는 ▲대외 리스크 최소화(28.7%) ▲핵심인력 양성 시스템 구축(18.0%) ▲세제, 규제완화, 노동시장유연화 등 경제효율성 제고(17.2%) ▲미래기술 투자 지원 확대(15.9%) 등을 요청했다.
kji01@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