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높아지는 발언 수위에 '장외투쟁' 카드까지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연일 거친 발언을 쏟아내면서 그의 리더십이 시험대에 올랐다. 최근 이재명 대통령 탄핵까지 외친 상황에서 '장외투쟁' 카드까지 만지작거리는 국민의힘을 향해 여론이 움직일지는 미지수다.
장 대표는 지난 4일 이 대통령이 시정연설차 국회를 방문하려 하자 "이번이 마지막 시정연설이 돼야 한다"고 작심 발언했다. 그는 국민의힘 의원총회 모두발언에서 "이제 우리가 나서서 이재명 정권을 끌어내리기 위해서 모든 힘을 모아야 될 때"라고 말했다.
![]() |
|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관 계단에서 열린 대장동 일당 7400억 국고 환수 촉구 및 검찰 항소포기 외압 규탄대회에서 규탄사를 하고 있다. 2025.11.12 pangbin@newspim.com |
사실상 이 대통령의 면전에 경고장을 보낸 것이다. 지난 11일에는 대검찰청 앞 규탄대회에서 "이재명을 탄핵해야 한다"며 "즉시 법원은 이재명 재판을 재개해야 한다"고 했다.
장 대표가 연일 정부여당을 향해 발언 수위를 높이고 있다. 지난 9월 특별검사의 국민의힘 당원명부 압수수색 시도가 분기점으로 꼽힌다. 이전까지 정부여당을 향해 "뿌린대로 거둔다"거나 "책임져야 한다"는 등의 간접적인 구호를 외치는데 그쳤다면, 특검의 압색 이후부터는 보다 직접적이고 거친, 분명하게 '탄핵'을 외쳤다.
지난 9월 21일 '보수의 심장' 대구에서 약 6년만에 장외투쟁을 실시한 당시 장 대표는 "이재명을 끝내야 한다"며 "국민의 힘으로 이재명 정권을 끝장내고, 독재를 막아내자"고 했다.
정치적 구호는 선명해졌지만, 아쉽게도 여론은 좀처럼 따라주지 않는 모습이다. 취임 100일을 앞둔 상황에서 장 대표가 여전히 민심에도, 당심에도 가깝지 않다는 해석이 나온다.
![]() |
|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4일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대한 시정연설을 하기 위해 서울 여의도 국회에 도착, 피케팅 시위를 벌이고 있는 국민의힘 의원들에게 인사한뒤 이동하고 있다. 2025.11.04 pangbin@newspim.com |
14일 한국갤럽이 공개한 여론조사에서 정당 지지율은 더불어민주당 42%, 국민의힘 24%, 무당(無黨)층 27%로 나타났다. 좀처럼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하지 않는 상황에 더해 중도확장력까지 부족하다는 방증으로 꼽힌다.
같은 조사에서 이 대통령이 '잘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59%로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점 역시 국민의힘에게는 돌파해야 할 난제다. 관세협상부터 시작해 검찰청 해체, 2번의 부동산 정책 발표, 검찰의 대장동 항소 포기 사태와 관련한 외압 의혹 등을 비판하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민심 이반이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국갤럽 조사는 지난 11~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3명을 대상으로 무선전화 가상번호를 이용한 전화 조사원 인터뷰(CATI)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3.1%포인트, 95% 신뢰수준이다.
장 대표의 선택은 결국 '장외투쟁'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최근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 언급된 바 있는 장외투쟁은 여론을 움직이기 위한 최후 수단이다.
국민의힘 주도로 탄핵안이 발의돼도 다수당인 민주당에 의해 막힐 것이 뻔한 상황이라, 장 대표의 마지막 선택은 '여론전'으로 정해진 것이나 다름 없다는 게 정치권의 시각이다.
당 내부에서는 이미 정해진 방향성에 장소와 시기를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빠르면 12월, 늦으면 내년 2월부터 움직임에 나설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2026년 6월3일이다.
right@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