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계 전문가 제조업 전환 위한 기업·정부 전략 제시
[서울=뉴스핌] 정태이 인턴기자 = 중소기업중앙회는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중소 제조업 전환 전략: 위기에서 혁신으로'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글로벌 환경 변화와 국내 산업 현안 속에서 중소 제조업의 위기를 진단하고, 기업의 자구적 혁신과 정부의 정책 지원 방향을 함께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 |
| 중기중앙회, 토론회 진행하는 모습 [사진=중소기업중앙회] |
오윤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제조업 위기라는 표현이 더 이상 과장이 아니다. 향후 10년간 대한민국 제조업 경쟁력을 결정짓는 핵심은 대·중소기업이 함께 축적해 온 산업 공유지를 얼마나 체계적으로 지켜내는가"라며 말했다.
또 ▲현장 개선 중심의 첨단화 ▲탄소 중립 대응을 위한 공동 인프라 ▲AI·로봇 등 기술 도입의 지속성 확보 ▲혁신 투자와 신용성의 연계 등 중소기업 첨단 제조 혁신을 위한 네 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이어진 종합 토론에서 각계 전문가들은 녹색전환(GX)·AI전환(AX) 관련 중소 제조업의 혁신 전환을 위한 기업과 정부의 전략을 제시했다.
곽지훈 에이아이네이션 대표는 제조업의 AI 확산이 더딘 이유 중 하나로 "정부 지원사업의 단기 실증 위주 구조로 실제 현장라인 적용에 필요한 지속적인 기술 내재화 지원 부족"을 지적했다.
권순재 중소벤처기업부 지역기업정책관은 "정부는 2030년까지 AI 중심 스마트 공장 1.2만 개 구축, AI 적용 기업의 산업 재해 20% 감소가 목표"라며 ▲중소 제조기업 AI 대전환 ▲스마트 제조 기술 기업 육성 ▲제조 데이터 표준화 등 인프라 확충과 같은 이행 계획도 소개했다. 이날 오후에는 '2025년 제2차 뿌리 산업 위원회'도 개최됐다.
taeyi427@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