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중년일자리 정부지원은 사라지고…전남형 대체 정책은 부재
[무안·목포=뉴스핌] 조은정 기자 = 전남도 신중년 일자리 정책이 단순 상담 중심의 형식적 사업으로 머물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1일 전남도의회 조옥현 의원(더불어민주당·목포2)은 2025년도 일자리투자유치국 행정사무감사에서 "신중년 일자리사업이 수치상으로는 추진되고 있지만, 실제 참여자들이 체감하는 고용성과는 미흡하다"며 "단기 장려금 지급에만 머물지 말고 지속 가능한 일자리 정책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 |
| 전남도의회 조옥현 의원(더불어민주당·목포2). [사진=전남도의회] 2025.11.11 ej7648@newspim.com |
조옥현 의원은 "지난해(2024년) 19억 원 규모의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 공모사업이 올해는 전면 중단되었고 '신중년일자리지원센터 운영'과 '희망 일자리장려금' 두 사업만 남았다"고 언급하며 "결과적으로 각각의 예산도 1억 원대에 그쳐 사업 규모가 대폭 축소되고 정책의 다양성도 사라졌다"고 지적했다.
이어 조옥현 의원은 "중앙정부 공모가 사라졌다면 도 차원에서 자체적인 '전남형 신중년 일자리 모델'이라도 만들어야 하는데, 대체사업이 전혀 없다"면서 "공모사업 부재를 이유로 손 놓고 있는 건 도의 책무를 다하지 못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 "신중년일자리지원센터의 상담·알선 건수가 1,494건, 취업자는 295명으로 보고됐지만 실제로는 대부분 1~2회 상담 후 종료되고, 역량강화 교육 참여자는 13명, 맞춤형 컨설팅은 6명에 불과하다"며 "전화상담 위주의 운영으로는 재취업이나 고용 유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조 의원은 "단기 보조금 중심 사업에서 벗어나 직무전환·사회공헌 중심 구조로 개편하고, 6개월·12개월 고용유지율과 임금 변화 등 체감형 지표를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옥현 의원은 "신중년 세대는 인생 2막을 준비하는 중요한 시기"라며 "단기 보조금이 아니라 직무전환, 사회공헌, 경력연계형 일자리로 구조를 개편해, 신중년이 지역의 활력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ej7648@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