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긍정평가 6%p 급등 63% 기록
한달 반 만에 60% 회복...민주 1%p 하락
향후 관세합의문·주가·김현지 논란에 달려
[서울=뉴스핌] 이재창 정치전문기자 =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한 달 반 만에 60%를 다시 돌파했다. 한미·한중 정상회담 성과로 대변되는 '이벤트 효과'와 주가 급등이 김현지 논란과 재판 중지법을 둘러싼 명청 갈등 등 악재를 덮으면서 지지율을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된다. 이 대통령의 지지율이 오르는 상황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떨어지는 디커플링 현상이 눈에 띈다.
특히 국민적 관심을 모아온 한미 관세 협상이 무난히 마무리됐다는 평가가 나온 것이 결정적이었다. 대미 투자액 3500억 달러 중 현금 투자는 10년간 2000억 달러로 결정됐다. 합의문이 곧 발표될 것으로 전해진다.
![]() |
|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참석 계기로 한미 정상회담을 하기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
한국갤럽이 4∼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가상번호를 이용한 전화조사원 인터뷰(CATI) 방식으로 실시해 7일 발표한 조사 결과, 이 대통령의 직무 수행 긍정 평가는 63%, 부정 평가는 29%로 나타났다. 긍정 평가는 지난주보다 6%포인트(p) 상승했고 부정 평가는 4%p 떨어졌다. '잘 모름' 또는 의견 유보는 8%였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 96%가 이 대통령의 국정 수행을 긍정 평가한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67%가 부정 평가를 내렸다. 중도층에서는 72%가 긍정, 21%가 부정적으로 답했다. 20대가 유일하게 50%를 밑돌았고 70세 이상은 50%였다. 나머지 연령층에서는 60∼70%대의 높은 지지율을 보였다.
긍정 평가의 주요 요인으로는 '외교'(30%), '경제·민생'(13%)이 꼽혔다. 정상 외교와 주가 급등이 주가 상승의 원동력이었음을 뒷받침한다. 부정 평가 요인으로는 '도덕성 문제·본인 재판 회피'(14%)와 '외교'(11%)가 지적됐다. 재판 중지법 논란이 영향을 미쳤고, 외교에 대해 보수층의 부정 평가가 반영된 결과다.
이벤트 효과가 컸다. 중요한 대외 이벤트 후에 지지율이 오르는 현상이다. 과거에도 박근혜 전 대통령의 중국 방문(54%→63%)과 문재인 전 대통령의 1차 남북정상회담(73%→83%)과 맥을 같이한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27∼29일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30일 발표한 전국 지표조사(NBS)에서 이 대통령의 국정 운영을 긍정 평가한 응답자는 직전 조사인 2주 전과 같은 56%로 나타났고 부정 평가도 35%로 직전과 같았다. 한미 정상회담(지난달 29일)과 한중 정상회담(1일)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결과였다.
정당 지지도는 갤럽 조사서 민주당 40%, 국민의힘 26%로 나타났다. 지난주 조사에 비해 민주당은 1%p 하락했고, 국민의힘은 같았다. 조국혁신당과 개혁신당은 각각 4%, 진보당은 1%였다. 8월 중순 이후 민주당 지지도는 40% 안팎을 유지하고 있고, 국민의힘은 20%대 중반의 박스권에서 탈출하지 못하고 있다. 이번 조사의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1%p, 응답률은 12.7%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대통령 지지율이 급등한 반면 민주당 지지율은 오히려 하락한 '디커플링' 현상이다. 재판 중지법 연내 처리 입장 번복 파동과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의 국감 출석 공방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NBS도 비슷했다. 민주당은 직전 조사와 같은 39%, 국민의힘은 2%p 오른 25%를 기록했다. 연령별로 보면 70세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민주당 지지도가 높았다.
국민의힘은 대구·경북(TK)에서 앞섰고 부산·울산·경남(PK)에서는 국민의힘이 1%p 앞서는 등 팽팽했다. 개혁신당과 조국혁신당의 지지도는 3%, 진보당은 1%였고, '없음' 또는 '모름', 무응답은 25%였다. NBS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 면접으로 이뤄졌고,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p다. 응답률은 16.7%였다. 두 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이 대통령의 지지율 상승세가 더 이어질지는 관세 협상 합의문의 구체적인 내용과 김현지 논란, 급등했던 주가 추이 등에 달렸다.
leejc@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