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평등위, 성평등부 조직개편 이후 첫 국정감사
정춘생 "구조적 성차별 해소 논의 부족…李 젠더 인식 아쉽다"
원민경 "역차별 아닌 불이익…공존 위한 방안 모색 중"
[서울=뉴스핌] 송주원 기자 = 원민경 성평등가족부 장관은 성평등부 정책 과제 우선순위에서 고질적인 성차별 구조 개선이 남성 역차별 담론에 밀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구조적 성차별 해소가 성평등부의 가장 기본적인 정책 과제"라고 일축했다.
원 장관은 4일 국회 성평등가족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정춘생 조국혁신당 의원으로부터 "성평등부의 가장 중요한 과제는 수천 년간 쌓여온 구조적 성차별 문제를 해소하는 것으로, 남성 역차별 논의도 중요하지만 우선순위는 분명히 해야 한다"는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 |
|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 원민경 성평등가족부 장관이 지난달 2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2025년 시·도 성평등 정책 담당 국장 회의를 주재하며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2025.10.28 gdlee@newspim.com |
정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께서 경제·사회·외교적으로 훌륭한 역량을 보여주고 계시지만 성평등과 젠더 인식 면에서는 다소 아쉬운 부분이 있다"며 "성평등부 역시 출범 이후 장관 일정과 언론보도를 보면 주로 청년과의 소통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정작 구조적 성차별 해소 방안에 대한 논의나 소통은 부족하다"라고 비판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 이후 국무회의나 행사에서 남성 역차별 문제를 여러 차례 언급한 바 있다. 대통령 선거 기간에도 공무원·변호사·초등교사 시험에서 여성 우위를 언급하며 "특정 영역에선 오히려 남성을 보호할 필요가 있는 영역이 있다"라고 말했다.
성평등부 조직개편을 통해 성형평성기획과가 신설되면서 성평등정책과는 주무과 자리를 내려놨는데, 이 같은 조직개편에는 이 대통령의 의중이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가 나온다. 성평등정책과의 옛 이름은 여성정책과로 여성정책국의 주무과였다.
정 의원은 이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하며 "성평등부가 아니면 구조적 성차별을 개선할 수 있는 부처가 없다. 무엇이 우선순위이고 무엇에 더 역점을, 방점을 두고 정책을 추진해야 되는지 장관이 분명하게 입장을 정하셔야 된다"라고 촉구했다.
원 장관은 "역차별이라는 용어보다는 불이익이라고 말하고 싶다"며 "의원님이 말씀하신 모든 걸 위해 공론의 장에서 서로 이야기를 나누고 공존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라고 답했다.
이어 "저희 성평등가족부의 가장 기본적인 정책 과제가 구조적 성차별 해소라는 데에는 전혀 변함이 없고, 흔들림이 없다"라고 덧붙였다.
jane94@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