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 주요 지수는 혼조세로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18.16포인트(0.47%) 상승한 4만6924.74에 마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22포인트(0.00%) 오른 6735.35를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36.88포인트(0.16%) 내린 2만2953.67로 집계됐다.
투자자들은 주요 기술 기업의 실적 발표에 대기하며 다소 조심스러운 거래를 이어갔다. 미국 정부의 셧다운(부분 업무 중지)으로 경제 지표 공백이 발생하는 등 불확실성이 지속하고 있지만 미국 주식의 하락세는 짧은 기간에 그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투자자들은 장이 내릴 때마다 매수 기회로 여기며 계속해서 조금이라도 저렴해진 주식을 사 모으고 있다.
이날 실적을 공개한 쓰리엠(3M)과 코카콜라는 다우지수는 사상 최고치로 끌어올렸다. 쓰리엠과 코카콜라는 각각 7.66%, 4.06% 상승 마감했다. 제너럴모터스(GM)는 연간 실적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며 14.86% 급등했다. 워너브러더스 디스커버리의 주가는 매각에 열려있다고 밝히면서 10.97% 상승했다. 스트리밍 업체 스포티파이는 모간스탠리가 스포티파이 주식을 '톱픽'으로 꼽으면서 2.03% 올랐다.
장 마감 직후 실적을 발표한 넷플릭스는 소폭 상승 마감했지만, 마진이 예상보다 악화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시간 외 거래에서 6.5% 급락 중이다.
전문가들은 매그니피센트7(M7:아마존 알파벳 애플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테슬라)의 실적이 긍정적이라면 연말까지 주식시장이 강세를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미국 국채금리가 이틀 연속 하락했다. 투자자들이 올해와 내년 중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에 베팅하면서 장기채 매수세가 이어진 영향이다.
벤치마크인 10년물은 전장 대비 2.7bp(1bp=0.01%포인트) 내린 3.961%를, 30년물은 3.3bp 떨어진 4.546%를 기록했다. 단기물인 2년물 금리도 1bp 하락한 3.455%를 나타냈다.
시장 참가자들은 올해 남은 두 차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각각 0.25%포인트씩 금리가 인하될 것으로 보고 있다. LSEG 집계 기준으로 10월 28~29일 회의의 인하는 이미 '기정사실화'됐다. 내년에는 세 차례의 0.25%포인트 추가 인하가 금리선물에 반영돼 있다.
수익률 곡선은 '불 플래트닝(bull flattening)'을 보이며 2년물과 10년물 금리차가 50.2bp로 축소됐다. 이는 9월 17일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일반적으로 장기금리가 단기금리보다 빠르게 하락하는 플래트닝은 연준의 금리 인하 전조로 해석된다.
외환시장에서는 일본의 새 총리 선출이 최대 이슈였다. 강경 보수 성향으로 평가받는 다카이치 사나에 자민당 총재가 오늘 일본의 첫 여성 총리로 선출됐다. 이에 엔/달러 환율은 0.76% 하락한 151.895엔으로 10월 14일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이날 달러는 엔화 약세에 힘입어 6일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지수(DXY)는 0.31% 오른 98.92를 기록했다. 유로/달러는 0.3% 하락한 1.161달러, 파운드화는 다음달 예산안 긴축 우려 속에 달러 대비 약세를 이어갔다.
기록적인 랠리를 이어가던 금 가격이 차익 실현으로 인해 5년 만에 최대 일일 낙폭을 기록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선물 12월물은 5.7% 떨어져 온스당 4,109.10달러에 마감했다. 금 현물은 한국시간 기준 22일 오전 2시 45분 기준 5.5% 하락한 4,115.26달러로 1주일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2020년 8월 이후 가장 큰 낙폭이다.
금값은 전날 사상 최고치인 4,381.21달러를 기록했으며, 올해만 약 60% 급등했다. 그 배경에는 지정학적·경제적 불확실성, 금리 인하 기대, 중앙은행의 지속적인 매수가 있었다.
유가는 5개월 만에 최저 수준에서 반등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브렌트유 12월물은 배럴당 0.31달러(0.5%) 오른 배럴당 61.32달러에 마감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12월물은 배럴당 0.30달러(0.5%) 상승한 배럴당 57.82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두 계약 모두 전날에는 5월 초 이후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었다.
최근의 하락세는 미국의 원유 생산이 사상 최고 수준에 도달하고,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그 동맹국들이 계획된 증산을 강행하기로 하면서 공급 과잉 우려가 커진 데 따른 것이었다.
그러나 미국 내 원유와 정제유 재고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이며 유가 하락 압력을 일부 상쇄했고, 미국과 중국 간 무역 분쟁이 글로벌 경기 둔화를 촉발해 석유 수요를 위축시킬 수 있단 우려가 나왔다.
WTI와 브렌트유 선물곡선 구조는 최근 콘탱고(contango) 형태로 전환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는 단기 공급이 풍부하고 단기 수요가 줄어드는 시장 상황을 의미한다.
시장 참가자들 사이에서는 이 콘탱고의 심화 정도를 놓고 의견이 엇갈린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이달 초 보고서에서 내년 원유 공급 과잉이 예상돼 '슈퍼 콘탱고(super contango)'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내다본 반면, 스위스 UBS의 애널리스트 지오반니 스타우노보는 "아직 그러한 현상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유럽 주요국 증시는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미국과 중국이 무역 합의를 이룰 것이라는 기대와 기업 실적 호조는 이날 유럽증시 전반의 분위기를 지지했다.
범유럽 지수인 STOXX600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20포인트(0.21%) 상승한 573.30에 마감했고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지수는 71.23포인트(0.29%) 전진한 2만4330.03에 마쳤다.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40지수는 52.79포인트(0.64%) 상승한 8258.86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영국 런던 증시의 FTSE100지수는 23.42포인트(0.25%) 오른 9426.99로 집계됐다.
기업들의 강한 실적은 유럽증시 투자 심리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나 무역 협상 합의를 이룰 것이라고 낙관한 점 역시 기존의 우려를 완화했다.
이날 실적을 공개한 프랑스의 고객관리 서비스업체 에덴레드는 3분기 매출 호조로 19.64% 급등했다. 지난주 실적을 발표한 에실로록소티카와 LVMH 등 기업들의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넘어섰다.
기타 특징주를 보면 구찌의 모회사 케링은 자사 뷰티 부문을 로레알에 매각하기로 했지만 0.15% 내렸다.
HSBC는 냇웨스트의 데이비드 린드버그를 영국 사업 최고경영자(CEO)로 임명했다는 소식에 1.57% 상승했다.
방산주는 티센크루프에서 분사된 전함 제조 부문 TKMS의 시장 데뷔와 지난주 트럼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회담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평화협정에 대한 긍정적인 분위기로 이어지지 못해 강세를 보였다. 스위스 몬태나 에어로스페이스는 9.46% 급등했고 이탈리아 레오나르도는 1.28% 올랐다.
wonjc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