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스킨케어·심리상담·보행안전 등
[광주=뉴스핌] 박진형 기자 = 광주시가 일상 속에서 시민이 손쉽게 체감하고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 실증사업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광주시는 올해 '창업기업제품 실증지원사업'에 45개사와 'AI실증' 4개사를 선정한 데 이어 22개사와 함께 다양한 실증장소를 연계한 실증사업도 함께 추진 중이다.
![]() |
실증 사업 추진. [사진=광주시] |
도심 내 공원, 공공청사 등 공공 실증자원 3300여 곳을 확보해 혁신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이 다양한 환경에서 자유롭게 시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주요 실증사업으로는 ▲인공지능 맞춤형 스킨케어 ▲거대언어모델(LLM)기반 심리상담 ▲인공지능 감지센서 활용 어린이 보행자 안전지킴이 ▲자전거도로 인공지능 안전관리시스템 등이 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창업진흥센터 입주기업인 '닥터케이헬스케어'가 광주시청 1층에서 'AI 맞춤형 스킨케어 솔루션 기기' 실증을 진행 중으로 개인별 피부 상태를 확인하고 맞춤형 화장품 추천을 받을 수 있다.
'헬프티쳐'가 개발한 '무인 인공지능 상담실'도 함께 설치돼 있으며 음성, 표정, 텍스트를 동시에 인식해 실시간 감정 상태를 분석하고 지피티(GPT) 계열 모델이 공감형 대화를 제공한다.
광주시는 '대·자·보(대중교통·자전거·보행중심) 도시 광주'를 실현하기 위한 인공지능 기반 교통안전 실증사업도 전개하고 있다.
동구 금남로 창업캠프 입주기업 에이치인텔리젼스는 '운전자·보행자 안전시스템(사각지대 스마트 아이)'을 개발해 북구 서림초등학교 어린이교통안전구역 내에서 실증 중이다.
인공지능 기반 감지센서와 대형 LED패널을 통해 실시간 교통 위험을 보행자와 운전자에게 알리는 방식으로 어린이의 안전한 등하굣길을 지키고 있다.
또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협력해 광산구 쌍암공원 부근의 자전거도로에는 'AI 안전관리 시스템'을 설치,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의 이동을 예측하고 도로 바닥 LED 조명으로 긴급 알림을 제공하는 실증도 추진할 예정이다.
bless4y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