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선 기상청장
'갈매기가 뭍에서 무리 지어 놀다가 높이 날면 바다에 나가지 않는다'라는 속담이 있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우리나라는 육상만큼이나 해상의 날씨도 매우 중요하기에 과거 우리 선조들은 이 속담처럼 동물의 행동이나 자연 현상을 관찰해 바다날씨를 예측하고 안전을 지키곤 했다.
과학이 발달한 현대에는 첨단 기상관측장비로 관측된 자료를 기반으로 육상 및 해상의 날씨 예보가 이루어지고 있다. 정확한 예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관측이 선행돼야 하므로 기상청에서는 지상, 해상, 고층, 지진 등 땅과 바다, 하늘을 1500여 개 지점에 대해 관측하고 있다.
![]() |
이미선 기상청장.[사진=기상청] 2025.10.15 onemoregive@newspim.com |
하지만 이 중에서 해양 관측지점은 약 250개로 전체 관측지점의 15% 정도에 불과하다. 예보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더 많은 지점의 관측자료가 필요하지만 해상에 관측장비를 설치하고 유지보수하는 일은 육상에 비해 어려워 관측지점 확대에 한계가 있다.
기상청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위성자료를 활용하고, 기상청 장비 외에도 해양수산청, 해양조사원, 해군 등 유관기관의 관측값을 활용해 해상 예보 및 특보를 생산하고 있다.
또한 해양기상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한곳에 모은 '해양기상정보포털'을 운영 중이다. 해양기상에 특화된 이 누리집을 통해 누구나 해양기상 예보와 특보, 관측정보, 너울위험정보, 바다안개, 해양레저 관련 기상정보 등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해상에 위험기상으로 풍랑특보가 예상될 때는 사전에 지자체, 해양경찰청, 어업정보통신국 등 해양 방재 관계기관과 소통하여 상세 해양기상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철저한 대비와 피해 예방을 돕고 있다.
각 지방청에서도 지역에 특화된 맞춤형 해양기상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수도권기상청에서는 짙은 안개가 예상될 때 어장 기준으로 '어장특화안개정보'를 제공하며, 대구지방기상청에서는 독도 접안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독도 접안 기상정보'를 제공한다. 부산지방기상청에서는 '해상 대형교량 맞춤형 강풍 기상정보'를 통해 해상으로 강풍이 예상될 때 교량 안전관리 관계기관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강원지방기상청에서는 매년 많은 관광객이 찾는 동해안에 너울로 인한 인명사고의 위험이 있기에 사고 예방을 위해 동해안에 특화된 서비스를 직접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강원동해안 맞춤형 파도넘침 정보 서비스'가 대표적이다. 강원동해안의 방파제 15곳, 해안도로 4곳, 방사제 2곳, 갯바위 5곳 총 26개 지점에 대해 파도가 구조물을 넘치는 정도를 관심-주의-위험-매우위험 4단계로 구분해 강원지방기상청 누리집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또한 강원특별자치도청과 협업 하에 '강원동해안 너울 예·경보 시스템'도 운영 중으로 강원동해안에 너울이 예상되면 해안가 81개소의 경보방송 시설을 통해 너울 위험단계를 알려 피해를 예방하고 있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작년 여름철 전국 해수욕장 263곳을 방문한 관광객은 약 4110만 명이며 생업을 위해 매일 바다로 나가는 국민들도 많다.
이처럼 바다는 우리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로 바다에서 안전하게 조업하고 관광을 즐기기 위해서는 바다날씨 예보 및 특보가 필수적이다. 바다로 향하기 전에 바다날씨를 확인하는 것을 꼭 기억해 주시기 바라며 앞으로도 기상청에서는 해양 기상 예보 및 특보 생산과 양질의 정보 전달,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를 통해 국민의 안전을 지키고자 노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