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로건 "금리 인하에 매우 신중해야"
OPEC+ 증산 부담 지속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금리 인하에 신중해야 한다는 로리 로건 미국 댈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 발언에 2일(현지시간) 금값이 최고치에서 하락했다. 유가는 공급 과잉 우려가 지속되며 2% 하락해 4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선물 12월물은 0.8% 내린 온스당 3,868.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금 현물은 한국시간 기준 3일 오전 3시 15분 기준 온스당 3,868.1달러로 0.8% 하락했다.
올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의결권을 행사하지 않는 로건 총재는 이날 텍사스 주립대학에서 "우리는 이곳에서부터는 금리 인하에 매우 신중해야 하고 여건을 과도하게 완화해 정책을 반전시키지 않도록 정책을 적절히 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리를 과도하게 내리다가 갑자기 올려야 하는 상황이 되면 가격 안정을 회복하는 데 매우 고통스러울 것이라고도 말했다.
그러면서 "관세와 다른 압력이 인플레이션을 앞으로 몇 달간 추세상 다소 높일 것이라는 전망에 따라 우리가 2%(물가 목표치)로 향할 수 있도록 정책 경로의 정상화를 다소 늦추는 것이 내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RJO 퓨처스의 시장 전략가 밥 하버콘은 "로건 총재의 발언 이후 금값이 하락했다. 연준 위원 한 명이 전체 방향을 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다음 회의에서 연준이 얼마나 공격적으로 나올지에 대해 시장에 신중론을 던졌다"고 설명했다.
트레이더들은 이달 열릴 연준 회의에서 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을 99%로 반영하고 있다.
미국 정부 셧다운은 이날로 이틀째 이어졌으며, 이로 인해 이번 주 발표 예정이던 핵심 경제지표 공개가 지연될 가능성이 커졌다. 2일 공개될 예정이었던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노동시장 건강을 가늠하는 주요 지표)는 나오지 않았고, 3일 발표 예정인 비농업 부문 고용보고서(NFP)도 나오지 않는다.
금융 서비스 기업 스톤엑스(StoneX)는 보고서에서 "무역 긴장과 관세가 글로벌 환경을 흔드는 가운데 지정학적 갈등이 해결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어, 안전자산 수요를 뒷받침하는 환경이 유지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 |
원유 배럴 [사진=로이터 뉴스핌] |
국제유가는 주말 예정된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회원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플러스(+) 회의를 앞두고 시장의 공급 과잉 우려가 커지면서 나흘째 하락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브렌트유 12월물은 배럴당 1.20달러(1.8%) 내린 64.15달러로 거래되며 6월 2일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11월물은 1.30달러(2.1%) 떨어져 배럴당 60.48달러에 마감했는데, 이는 5월 30일 이후 최저치다.
오닉스 캐피탈 그룹의 호르헤 몬테페케 담당이사는 "맥쿼리 같은 일부 은행들이 원유 시장에 '슈퍼 공급 과잉(super glut)'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아 투자 심리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투자 리서치사 HFI 리서치는 블로그 글에서 "결국 정답은 뻔하다"며, "미국 원유 재고는 연말까지 늘어나고, 글로벌 재고 증가도 가시화될 것이다. 여기에 OPEC+ 원유 수출 증가까지 겹치면 결과적으로 원유 시장 환경은 지속적으로 약세를 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PVM 에너지 애널리스트들은 "수요 부진 신호가 공급 과잉 우려를 심화시키고 있다"며, "올해 원유 수요 전망치는 큰 차이를 보이지만 평균적으로 1월~9월 사이 하루 15만 배럴 감소 쪽으로 하향 조정됐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러시아 에너지 인프라를 겨냥한 장거리 미사일 공격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방침이라는 보도가 나온 점은 유가 낙폭을 제한한 요인이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 조치로 우크라이나가 정유시설, 송유관 등 인프라를 더 쉽게 공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크렘린의 수익과 원유 공급을 차단하려는 의도라고 전했다.
UBS의 원자재 애널리스트 지오반니 스타우노보는 "시장에서는 러시아산 원유 공급 차질 우려가 다시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실제 공급 차질이 발생하지 않는 한,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레이더들은 세계 최대 원유 수입국인 중국의 비축 수요도 유가를 뒷받침하며 하락폭을 제한했다고 전했다.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