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2028년 준공 발표 두 달 만에 전면 수정...2030년 이후 추진
"호남선 지선 확장 없이 효과 없어" 2030년 이후 추진키로
"구암교차로 신설 추진"...행정 신뢰·시민 기대 무력 논란
[대전=뉴스핌] 김수진 기자 = 대전시가 지난 7월 장대교차로 입체화 사업을 2028년 준공 목표로 발표한 지 불과 두 달 만에 계획을 전면 수정하면서 시민 혼란과 행정 신뢰성 논란이 커지고 있다. 시는 구암교차로 입체화를 우선 추진하고 장대교차로 입체화는 호남고속도로 지선 확장과 연계해 2030년 이후에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수년간 지연돼온 장대교차로 입체화가 이번에야 추진될 것이라는 시민 기대는 또다시 무산되면서, '말 바꾸기' 행정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29일 시청 기자회견장에서'외삼~유성복합터미널 BRT 연결도로 임시 개통'과 '구암교차로 입체화' 등 서북부 교통 구조 개선안을 발표했다. 문제는 장대교차로 입체화 사업 추진 일정이 단기간 내 전면 재조정됐다는 점이다.
![]() |
[대전=뉴스핌] 김수진 기자 = 남시덕 대전시 교통국장이 3일 대전 외삼~유성복합터미널 BRT연결도로 추진 경과를 설명하고 있다. 2025.07.03 nn0416@newspim.com |
앞서 7월 대전시는 총사업비 412억 원을 투입해 왕복 4차로 지하차도로 장대교차로 입체화를 추진, 2028년 준공 목표를 발표했다. 사업 관련 여야 갈등이 극심한 상황에서 나온 발표였던 만큼 시민 기대도 상당했다. 비슷한 시기 국민의힘 일부 의원들은 "민선 7기 시절 교통영향평가를 잘못 예측해 평면교차로 방식을 고집하면서 장기간 지연됐다"며 사업 장기화 책임을 더불어민주당에 돌리기도 했다. 동시에 시는 중앙투자심사를 통과했다며 2028년 준공이 문제없다는 입장도 내놨다.
그러나 발표 두 달 만에 사업은 다시 지연됐다. 이날 이장우 시장은 "잘못된 의사결정을 바로잡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였고 설계 최종 단계까지 진척됐다"면서도 "구암교 네거리와 구암역 삼거리 일대 교통 개선과 호남고속도로 지선 확장 문제도 해결돼야 근본적인 교통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밝혔다.
대전시는 장대교차로 입체화 사업이 인접 호남고속도로 지선 확장 이후에야 실질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남시덕 교통국장은 <뉴스핌>과 만나 "장대교차로 입체화 방향에 맞춰 교통 계획을 수정한 상황"이라며 "호남고속도로 지선은 현재 예비타당성 조사 중이며, 지선이 확장된 이후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지선 확장 시점은 불투명한 상황으로, 대전시도 이에 대한 구체적인 일정에 대해 답변을 내놓지 못했다.
장대교차로 입체화가 미뤄지면서 시는 구암교차로 신설을 대신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대전시는 유성IC와 현충원로에서 유입되는 차량 증가, 서남부스포츠타운 조성 등 미래 교통 수요를 고려해 445억 원을 투입, 2027년 공사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두달 만의 정책 변경으로 시민 혼란이 크다. 한 유성구민은 "몇 달 전만 해도 '2028년 준공'이라고 대대적으로 보도돼 기대가 컸는데 석 달도 안 돼 뒤바뀌다니 이해가 안 된다"며 "두달 전엔 호남지선 상황을 몰랐다가 지금은 알게 된거냐, 하다못해 시민들에게 호남지선 상황이나 구암교차로 신설 계획을 미리 알렸다면 실망도 크지 않았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도시계획 전문가들은 대전시 행정 신뢰를 우려했다. 한 전문가는 "단기간 내 계획 변경은 행정 신뢰를 크게 훼손할 수 있다"며 "앞으로 계획을 수립할 때는 충분한 사전 분석과 공청회, 시민 의견 수렴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태는 대전시가 시민과 약속한 계획을 지키지 못하면서 행정 신뢰가 시험대에 올랐음을 보여준다.
nn041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