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거노인·장애인 안전 돌봄 체계 강화
[울산=뉴스핌] 박성진 기자 = 울산시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차세대 전자바우처 등 복지분야 전산시스템이 마비된 데 따라 사회복지 전담팀(TF)을 구성해 대응에 나섰다고 29일 밝혔다.
![]() |
울산시가 국가전산시스템 마비로 인한 사회안전망 공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전산시스템이 복구될 때까지 사회복지 전담팀(TF팀)을 구성해 대응에 나선다. 사진은 울산시청 전경 [사진=뉴스핌DB] 2019.12.19 |
시는 장태준 복지보훈여성국장을 단장으로 복지정책과장이 총괄을 맡고 시·구군 복지부서장이 참여하는 전담팀을 꾸려 복지서비스 공백 방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복지로'는 접속이 중단돼 증명서 7종과 양육수당, 아동수당을 포함한 온라인 신청 52종이 불가능한 상태다. 이에 따라 시는 민원인이 동 행정복지센터를 직접 방문하면 수기 접수와 발급이 가능하도록 조치했다.
'행복이음(사회보장정보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아 각종 증명 업무가 지연되는 상황에서 수기 발급을 통해 불편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복지급여의 경우 9월분은 이미 지급돼 혼선은 없으나, 장기 지연 시 기존 지원 대상자는 10월에도 9월 기준으로 지급하고, 신규 신청자는 소급 지급을 검토한다. 긴급한 경우에는 긴급지원제도를 활용해 우선 지원할 계획이다.
독거노인과 장애인의 응급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응급안전디지털돌봄시스템'도 장애를 겪고 있다. 시는 관리가 시급한 중중대상자 149명을 명예사회복지공무원과 1대1로 연결해 매일 안부 확인을 진행하고 데이터 미수신자는 사회보장정보원으로부터 수차례 자료를 전송받아 안전을 확인한다.
아울러 '이(e)하늘장사정보' 접속 불가는 울산하늘공원에서 유선 예약으로 대체하고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결제 장애 시 이용자에게 우선 서비스를 제공한 뒤 제공기관이 비용을 구군에 수기 신청하면 사회보장정보원이 사후 정산하는 방식으로 보장한다.
시는 시스템 복구 전까지 해울이콜센터(120)와 시 누리집을 통해 대체 서비스를 안내하며 시민 불편 최소화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psj94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