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상 CEO, 25일 타운홀 미팅 통해 출범 배경 설명
에이닷·AI 데이터센터·글로벌 투자·R&D 등 전사 AI 조직 통합 예정
향후 5년간 5조원 투자…민첩한 조직 체계로 성과 지향 문화 구축
내부 시스템·문화·역량에 AI 적용해 전사적 혁신도 동시 추진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SK텔레콤이 급변하는 인공지능(AI) 환경 속에서 '골든타임'을 잡기 위해 전사 AI 조직을 통합한 'AI CIC(Company in Company)'를 출범시키고, 오는 2030년까지 연 매출 5조 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25일 SK텔레콤에 따르면 이날 서울 을지로 본사에서 열린 전 구성원 대상 타운홀 미팅에서 유영상 최고경영자(CEO)는 "위기와 기회가 공존하는 AI 시대에 수요자 관점의 내부 혁신과 공급자 관점의 사업 혁신이 모두 필요하다"며 "전사 AI 역량을 결집한 정예 조직 체계 AI CIC를 새롭게 출범한다"고 밝혔다.
AI CIC는 에이닷(A.)과 기업용 에이닷 비즈(A. Biz), AI 데이터센터, 글로벌 AI 제휴·투자, AI 연구개발(R&D), 메시징·인증 사업 등 흩어져 있던 기능과 조직을 하나로 통합해 출범한다. 대표는 유 CEO가 직접 겸임하며, 세부 조직 개편은 다음 달 말 시행될 예정이다.
![]() |
유영상 SK텔레콤 최고경영자(CEO). [사진=SK텔레콤] |
새 조직은 빠르고 자율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한 민첩한 체계를 갖추고, 성과 지향과 지속적인 도전을 장려하는 문화로 운영된다. SK텔레콤은 향후 5년간 약 5조 원을 투자해 오는 2030년까지 연 매출 5조 원 이상을 달성할 계획이다.
사업 전략은 AI 수요(B2C·B2B)와 공급(인프라)의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데 맞춰졌다. B2C는 에이닷을 중심으로 국내외 가입자를 확대해 지속 가능한 수익 구조를 확보하고, B2B는 에이전틱(Agentic) AI 서비스를 통해 제조업 등에서 레퍼런스를 쌓는다. AI 데이터센터는 글로벌 빅테크와 정부 사업을 겨냥해 국내 최고 수준 사업자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또 AI CIC는 SK그룹 전체의 AI 플랫폼 역할을 하며, 정부·산업·민간의 다양한 AI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모델 확보 전략도 추진한다. 디지털 트윈과 로봇 등 미래 성장 분야 연구개발과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도 주요 과제다.
내부 혁신도 병행한다. AI 인력을 전사에 균형 있게 배치해 역량을 강화하고, AI·DT 기반으로 시스템과 인프라를 전환한다. 통신·네트워크 사업에서는 업무 자동화와 고객 접점 혁신, 네트워크 운영 지능화를 통해 효율을 높인다. 에이닷 비즈 사내 적용 확대와 AI 프론티어·AI보드 운영 등을 통해 AI 중심의 조직 문화를 확산한다.
유 CEO는 보안 혁신과 본원적 경쟁력 강화도 강조했다. 그는 "보안 거버넌스 강화, 제로 트러스트 체계 구축, 글로벌 보안 전문가 협력 등을 통해 보안을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며 "지난 3년간 AI 전환 성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AI 컴퍼니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