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AI 적용기'·'내비 경로탐색 강화학습 도입' 소개
25일 임직원 데이 기술자산 부스에서 AI 기술 체험 제공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 개발자 컨퍼런스 'if(kakao)25'에 참여해 자사의 인공지능(AI) 기술 혁신 성과를 소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컨퍼런스에서 카카오모빌리티는 자율주행과 내비게이션 분야 AI 기술 개발 현황과 실제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발표를 진행하며 '디지털트윈 지도 제작 자동화'와 '카카오 T 퀵 AI 주소 자동 붙여넣기' 등 혁신 사례도 함께 공유한다.
![]() |
카카오모빌리티 CI. [사진=카카오모빌리티] |
자율주행개발팀 박창수 테크 리더는 이날 '기술 심층 세션데이'에서 '자율주행 AI 실차 적용기: 서비스를 위해 우리가 만들고 있는 자율주행'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박 리더는 자율주행 서비스 핵심 기술을 차량 시스템, AI 프레임워크, 관제 시스템 등 세 가지 축으로 설명하며 자율주행 상용화를 위한 주행 기술은 물론 운영·관리 플랫폼 개발 과정과 실제 서비스 적용 경험을 공유한다.
또한 대규모 데이터 수집과 처리, AI 학습 파이프라인 구축, 알고리즘 검증 및 배포 전 과정을 체계화한 과정과 배차, 관제, 원격 가이드 등 자율주행차 통합 운영이 가능한 서비스 플랫폼 구축 현황도 함께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 AI 연구개발팀 김푸르뫼 연구원은 카카오내비 실시간 경로탐색에 멀티암드밴딧 기반의 강화학습을 도입한 사례를 소개한다. 이는 내비게이션이 경로 탐색 시 고려하는 정보와 현실 주행 환경의 불일치 정도를 최적화된 수치로 변환해 실시간 대용량 경로탐색에 반영한 방법론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운전자가 실제 안내된 도로를 주행했는지를 바탕으로 도로별 '경로 준수율'을 산출하고 이를 통해 도로의 '통행 가치'를 산정해 카카오내비 실시간 경로 탐색에 반영했다. 예를 들어 통행이 불편한 버스 환승센터 주변이나 상시 주정차 차량으로 혼잡한 도로 등에서 운전자들이 해당 도로를 주행하지 않는 경향이 나타나면 그 도로는 주행에 부적합하다고 판단해 향후 경로 안내를 지양하게 된다.
해당 연구는 운전자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존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반영하지 못했던 도로의 잠재 특성을 경로 탐색에 반영하고 실제 상용 서비스에서 효과를 확인한 선도적 사례로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관련 논문은 지난 7월 초 교통 분야 최고 권위 SCI급 학술지 'TRC(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 Emerging Technologies)'에 게재됐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오는 25일 카카오 그룹 개발자 간 기술 교류와 네트워크 장인 '기술자산 부스(데모스테이션)'에도 참여해 'AI로 구현하는 디지털트윈 자동화 지도 제작'과 '카카오 T 퀵 AI 주소 자동완성 체험' 등 다양한 AI 기술 도입 사례를 선보일 예정이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이번 이프 카카오에서 소개한 기술들은 단순 연구 수준을 넘어 실제 서비스에 적용되며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있는 성과들"이라며 "앞으로도 AI 기반의 혁신 모빌리티 기술을 통해 더욱 똑똑하고 안전한 이동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shl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