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대체투자 잔액 전분기 대비 5000억원 감소
보험권 30조3000억원 최다, 지역별 북미 34조4000억원
기한이익상실(EOD) 전분기 대비 1000억원 감소
[서울=뉴스핌] 정광연 기자 = 국내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투자규모가 55조원을 넘어선 가운데 잠재적 손실(부실투자)는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3월말 기준 금융권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55조5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5000억원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23일 밝혔다.
![]() |
[사진=금감원] |
업권별로는 보험이 30조3000억원(54.6%)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은행 12조1000억원(21.9%), 증권 7조5000억원(13.6%), 상호금융 3조4000억원(6.1%), 여전 2조원(3.6%), 저축은행 1000억원(0.2%) 순이다.
지역별로는 북미가 34조4000억원(62.1%)으로 가장 많고 유럽 10조3000억원(18.5%), 아시아 3조7000억원(6.7%), 기타 및 복수지역 7조원(12.7%) 순이다.
만기별로는 올해가 5조8000억원(10.4%), 2030년까지 37조1000억원(66.8%)으로 나타났다.
3월말 기준 금융회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부동산) 32조9000억원 중 2조4900억원(7.57%)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 발생했다. 이는 전분기 2조5900억원 대비 1000억원 줄어든 규모다.
EOD는 채무자 신용위험이 높아져 금융기관이 만기 전 대출금을 회수하는 것으로 잠재적 손실 위험으로 분류된다.
금감원은 "해외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고금리와 정책 불확실성 등에도 산업·주거시설 등을 중심으로 소폭 회복 양상"이라며 "다만, 오피스 부문은 근무형태 변화 등 구조적 수요 위축과 높은 공실률로 회복세가 여전히 지연되고 있어 향후 손실 확대 가능성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오피스 투자자산을 중심으로 손실 확대 우려가 있으나 투자 규모가 크지 않고 손실흡수능력도 충분해 시스템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다"며 "오피스 투자자산을 중심으로 손실인식 적정성 점검, 감정평가 시의성 강화 등 맞춤형 감독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peterbreak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