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 기술 표준 제정·인증 맡은 국가 공인기관
안면인식 기술 인식 정확도·위변조 탐지 성능 입증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카카오뱅크가 19일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모바일 신분증 안면인식 적합성 평가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 |
[이미지= 카카오뱅크] |
TTA는 ICT 기술의 표준 제정과 인증을 맡고 있는 국가 공인기관이다. 해당 기관은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가 안전성과 성능 기준을 충족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안면인식 기술을 평가한다.
카카오뱅크의 AI 기반 딥러닝 안면인식 기술은 인식 정확도와 위변조 탐지에서 우수한 성능을 입증하며 평가를 통과했다. 행정안전부의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참여기업으로 선정된 카카오뱅크는 지난 7월 실물 신분증 없이도 다양한 장소에서 신분 확인이 가능한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출시했다.
모바일 신분증은 카카오뱅크 앱을 통해 발급되며, 온·오프라인 상황에서 이용 가능하다. 고객들은 안드로이드와 iOS 운영체제를 모두 지원하여 단말기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카카오뱅크는 이번 평가를 바탕으로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의 고도화와 안전성 강화를 계획하고 있다. 2021년, 카카오뱅크는 자사 개발의 안면 인식 기술에 대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바이오 인식 시스템 성능 인증을 취득한 바 있다. 이후 2023년에는 얼굴 위변조 탐지 기술에 대한 TTA의 R&D 결과검증 시험을 진행했다.
카카오뱅크는 AI 기술을 통해 금융 혁신을 선도하며 고객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금융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다. 카카오뱅크는 2017년 출범 이후 공인인증서 없는 뱅킹 프로세스를 구현하며 금융권의 인증 체계 변화에 기여해왔다.
회사는 금융기술연구소를 통해 다양한 인증 기술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신분증 촬영, OCR 인식, 안면 인증, 무자각 인증 등 다양한 보안 솔루션을 자체 개발하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이번 적합성 평가를 통과한 것이 고객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증명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기술 혁신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