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파탄·경제 실정·외교·안보 참사·미래세대 부담 등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국민의힘은 12일 '이재명 정부 100일 국정 파탄 실정' 사례집을 발간하며 정부여당의 주요 실정 사례를 지적했다.
이번 사례집은 ▲정치 파탄 ▲경제 실정 ▲외교·안보 참사 ▲미래세대 부담으로 분류돼 있다. 정치 파탄에서는 정부의 인사청문회 제도 무력화와 인사 참사를 주장했다. 예시로 이진숙·최교진 교육부장관 후보자, 강선우 여성가족부장관 후보자, 최동석 인사혁신처장 임명 등을 들었다.
![]() |
국민의힘이 12일 발간한 이재명 정부 100일 국정 파탄 실정 사례집 목차. |
경제 실정 영역에서는 경제정책 추진에 있어 '문제 시 수정하겠다'는 무책임한 당·정·대 행태를 고발했다. 상법 개정안과 노동조합법 개정안(노란봉투법), 부동산 정책 등도 비판했다.
외교·안보 참사와 관련해서는 최근의 미국 조지아 사태와 대미 관세협상을 저격했다. 정부의 대중, 대러관계 전략 부재를 지적하는 동시에 대북관계는 "굴종적"이라고 꼬집었다. 미래세대 부담은 ▲채무 탕감 ▲현금 살포 ▲직장인 밥값 지원 등 정책을 포퓰리즘 정책으로 지목했다.
이날 국민의힘 정책위원회 주관 '이재명 정부 국정 파탄 실정 토론회'에 참석한 장동혁 대표는 '조지아 사태'를 언급하며 "대통령이 있어야 할 곳엔 보이지 않고, 없어도 되는 곳에서만 보이는 100일이었다"고 직격했다.
장 대표는 "아무리 대통령을 포장하려고 해도, 곧 그 바닥이 드러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송언석 원내대표는"대한민국이 이재명 대통령 말대로 회복과 정상화로 가는 100일이었는지, 혼용무도의 100일이었는지 국민은 다 판단하고 계실 것"이라며 "대한민국이 아닌 대한망국의 열차에 100일째 탑승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righ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