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서울서 '2025 글로벌 모빌리티 콘퍼런스' 열려
전기차·UAM·자율주행 등 정책 방향 논의
강 차관 "도시-농촌, 세대 간 격차 줄이는 포용적 모빌리티 중요"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강희업 국토교통부 2차관이 모빌리티의 미래를 위한 키워드로 혁신과 포용성을 제시했다. 모빌리티는 단순한 교통수단을 넘어 삶과 도시, 국가 경제를 바꾸는 핵심으로 자리잡은 만큼 기술 발전뿐 아니라 세대·지역 간 격차를 줄이는 노력이 요구된다는 의견이다.
![]() |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9일 강희업 국토교통부 2차관이 '2025 글로벌 모빌리티 콘퍼런스'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2025.09.09 chulsoofriend@newspim.com |
9일 강 차관은 서울에서 열린 '2025 글로벌 모빌리티 콘퍼런스' 환영사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강 차관은 "전통적인 모빌리티는 차량과 인프라 중심의 이동 수단과 이를 구현하는 방법을 의미했다면 지금은 서비스로서의 이동 체계, 데이터와 플랫폼을 통한 연결, 사람뿐 아니라 물류를 이동시키는 등 포괄적인 뜻을 지닌다"며 "모빌리티를 통해 사람의 생활을 바꾸고 도시의 미래를 가꾸면서 국가의 경제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세계 각국은 전기차·수소차 등 친환경 교통수단 개발과 AI(인공지능)을 활용한 자율주행, UAM(도심항공교통) 기술 상용화 등 모빌리티 육성과 활성화 측면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한국 또한 자율주행 AI 삼각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지역 특성에 따른 맞춤형 UAM 서비스 고도화에 나섰다"고 부연했다.
모빌리티 분야에선 기술뿐 아니라 포용성도 중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강 차관은 "혁신에만 집중하면 도시와 농촌, 세대와 계층 간 격차는 심화될 수 있다"며 "공공성과 지속 가능성은 간과하면 안 되는 모빌리티 정책의 한 축"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이 자리가 모빌리티 생태계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번 콘퍼런스는 글로벌 모빌리티 기업, 전문가, 국제기구 등이 사회적 격차 해소를 위한 모빌리티의 역할을 톺아보고, 모빌리티 혁신을 위한 정책 방향을 논의하고자 마련했다. '함께 만드는 미래: 혁신으로 여는 새로운 가능성'이 주제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