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실적 발표 후 주가 52주 최고가 근접
구독 기반 전환으로 예측 가능 수익 구조 확보
FY29 영업이익률 41% 목표, 장기 로드맵 제시
SEC 및 검찰 조사 종료로 규제 리스크 해소
이 기사는 9월 2일 오후 4시56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오토데스크 ① AI 혁신과 AECO 부문의 성장 가속화>에서 이어짐
[서울=뉴스핌] 김현영 기자 = ◆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긍정적 평가
오토데스크(종목코드: ADSK)의 2026회계연도 2분기 실적 발표 후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반응은 매우 긍정적이었다. 팩트셋 조사에 따르면 최소 12명의 월가 애널리스트가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했으며, 특히 오토데스크가 2029 회계연도 실적 가이던스를 발표한 데 대해 고무적인 반응을 보였다.
![]() |
오토데스크 로고 [사진 = 업체 홈페이지 갈무리] |
골드만삭스는 오토데스크에 대한 '중립' 투자의견을 재확인하면서도 목표주가를 300달러에서 32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골드만삭스의 캐시 랑간 애널리스트는 오토데스크의 새로운 거래 모델에서 지속적인 모멘텀을 언급하며, 1분기의 5%포인트에 비해 2분기에 7%포인트의 성장 기여를 강조했다. 또한 연초 시행된 시장 진출 최적화 계획에 따른 채널 파트너로부터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멘텀 개선을 주목했다.
키방크는 '비중 확대' 투자의견을 재확인하며 목표주가를 350달러에서 365달러로 올려 잡았다. 키방크의 제이슨 셀리노 애널리스트는 경영진의 2026 회계연도 매출 전망 상향 조정에도 불구하고 하반기 가이던스가 보수적으로 보이며, 이는 거시경제에 대한 신중함을 반영한다고 진단했다. 오토데스크의 2029 회계연도 영업이익률 목표치 발표에 대해서는 "투자자들의 기대에 부합한다"고 평가했다.
윌리엄 블레어는 '시장수익률 상회' 투자의견을 재확인하며, 강력한 성과의 배경을 수요 환경의 안정성, 사업 다각화, 유리한 거래 시기, 더 강력한 선불 수익으로 분석했다. 윌리엄 블레어의 딜런 베커 애널리스트는 오토데스크의 다각화된 수익 기반과 제조, 건설, 엔터테인먼트 시장 전반의 디지털화 이니셔티브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운영 최적화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파이퍼 샌들러는 '비중 확대' 투자의견을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361달러에서 373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파이퍼 샌들러의 클라크 제프리스 애널리스트는 오토데스크의 2026 회계연도 매출 성장, 청구액 증가, 영업 이익 및 잉여 현금 흐름 예측치 상향 조정을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또한 회사가 41%의 비GAAP 영업 이익률과 45%의 기본 영업 이익률이라는 중기 수익성 목표를 공개한 것을 높이 평가했다.
![]() |
'오토데스크 유니버시티(AU) 2025' [사진 = 오토데스크 홈페이지] |
미즈호 증권의 시티 파니그라히 애널리스트는 "오토데스크가 장기적으로 성장과 수익성을 가속화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며 '시장수익률 상회' 투자의견을 거듭 강조하고 목표주가를 350달러에서 37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예상을 웃돈 2분기 강력한 매출액 성장에 대해 파니그라히는 "최근 몇 년간 가장 큰 규모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스티펠은 목표주가를 350달러에서 375달러로 상향 조정하고 '매수' 투자의견을 재확인했다. 스티펠의 아담 보그 애널리스트는 모든 주요 지표가 회사 가이던스와 시장 예상을 뛰어넘었다며, 오토데스크가 "최근 보기 드물게 깔끔한 실적을 발표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견조한 실행력, 일관된 거시 경제 상황, AECO 부문의 강세를 강력한 성과의 배경으로 꼽았다.
UBS는 목표주가를 370달러에서 385달러로 상향 조정하고 '매수' 투자의견을 유지했다. UBS의 테일러 맥기니스 애널리스트는 이번 실적 발표 시즌에서 가장 깔끔한 소프트웨어 부문 실적 중 하나라고 평가하며, 오토데스크의 2분기 매출과 청구액이 수 분기 만에 가장 강력한 수치를 기록한 점을 강조했다.
RBC 캐피털은 목표주가를 345달러에서 380달러로 상향 조정하고 '시장수익률 상회' 투자의견을 유지했다. RBC의 매튜 헤드버그 애널리스트는 견조한 실적과 2026 회계연도 가이던스 상향을 목표주가 조정의 주요 요인으로 꼽았으며, 잉여현금흐름 전망에 대한 자신감이 향상되었다고 언급했다.
![]() |
오토데스크 '퓨전' 이미지 [사진 = 업체 홈페이지] |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투자의견을 종합하면 '매수' 의견이 압도적으로 우세하다. CNBC 집계에 따르면, 32개 투자은행 중 8곳이 '강력 매수', 17곳이 '매수', 7곳이 '보유' 의견을 제시했다.
이들이 제시한 목표주가 평균은 359.55달러로, 현재 주가에서 13.5%의 추가 상승 여력을 나타낸다. 월가에서 제시한 최고 목표주가는 430달러, 최저 목표주가는 270.97달러다.
이러한 일치된 낙관론은 오토데스크의 구조적 성장 동력과 AI 기술을 통한 경쟁우위 강화 가능성에 대한 월가의 높은 신뢰를 반영한다.
◆ 규율적 자본 배분으로 주주가치 극대화
오토데스크는 강화된 현금 창출력을 바탕으로 규율적인 자본 배분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회사는 연초부터 현재까지 7억900만 달러로 250만 주의 자사주를 매입했으며, 2026 회계연도 자사주 매입 목표를 12억~13억 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 |
생성형 AI와 대화 지원되는 오토캐드 [사진 = 오토데스크 홈페이지] |
아나그노스트 CEO는 자본 배분 우선순위에 대해 "먼저 AI를 중심으로 한 전략과 제품 전략 관련 모든 것에 유기적으로 투자하고 있다"며 "두 번째로는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수합병(M&A)과 인접 사업 전략 확장을 위한 타깃 인수를 검토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러한 인수는 일반적으로 수억에서 수십억 달러 규모"라며 "여유 자본은 주주들에게 자사주 매입 방식으로 신속하게 분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향후 전망과 투자 포인트
오토데스크의 투자 매력은 여러 측면에서 확인된다. 우선 구독 모델로의 성공적 전환으로 매출 예측 가능성이 높아졌고, 여기에 AECO 부문의 구조적 성장과 데이터 센터, 인프라 투자 확대라는 거시적 트렌드가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다.
![]() |
인프라와 빌딩 설계 워크플로우를 보여주는 BIM 이미지 [사진 = 오토데스크 홈페이지] |
무엇보다 AI 기술 투자가 실질적인 제품 혁신과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프로젝트 버니니'와 같은 생성형 AI 모델의 개발은 기존 CAD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꿀 가능성을 제시한다.
또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미국 검찰청의 정부 조사가 2025년 8월 기준으로 종결됨에 따라 투자자들의 주요 우려 사항이 해소되었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향후 주목할 포인트로는 구독 플랫폼의 지속적인 글로벌 채택률, AI 기반 기능의 추가 출시 성과, 현재 성장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회복세 등이 있다.
건축에서 제조, 미디어까지 다양한 산업에 필수적인 디자인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오토데스크가 AI 시대에도 경쟁우위를 유지하며 지속 성장할 수 있을지, 주가가 52주 최고가를 돌파하며 새로운 역사를 쓸 수 있을지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