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물 차익실현에 2년물 금리 소폭 반등, 10년물은 8월 이후 최저
"채권시장의 가장 큰 동력은 연준"…150bp 인하 기대 반영
신규 실업수당·GDP 개선…시장 눈은 PCE·고용 지표로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28일(현지시간) 뉴욕 채권시장에서 미 국채금리는 만기별로 엇갈렸다. 최근 하락세를 보이던 2년물 금리가 차익실현 매물에 소폭 반등한 반면, 10년물을 비롯한 장기물 금리는 하락했다.
이날 뉴욕 채권 시장에서 2년물 국채금리는 1.6bp(1bp=0.01%포인트) 오른 3.639%로 마감했다. 전날에는 장중 3.611%까지 떨어지며 5월 초 이후 최저를 기록했었다. 반면 벤치마크 10년물은 2.7bp 내린 4.211%를 기록했다. 10년물 금리는 장중 일시 4.203%까지 떨어져 8월 5일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2년물과 10년물 금리차는 전날 63.5bp에서 57bp로 축소되며 이번 주 초의 가팔라진 곡선이 다시 평탄화됐다.
![]() |
미 달러화.[사진=로이터 뉴스핌] 2021.05.21 mj72284@newspim.com |
◆ "채권시장의 가장 큰 동력은 연준"…150bp 인하 기대 반영
ING의 파드레익 가비 금리 전략가는 "채권시장의 가장 큰 동력은 연준이다"면서 "단기물은 이미 기준금리가 150bp 인하될 것이라는 기대를 반영하고 있는데 이는 스콧 베센트 재무 장관한 제안한 수치와 일치하는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베센트 장관은 앞서 13일 "금리가 지나치게 제약적이다"면서 아마도 150~175bp 낮아져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미국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이 반영하는 9월 기준금리 인하 확률은 84%로 집계된다. 또한 시장은 2026년 말까지 총 138bp 인하를 예상하고 있다.
채권시장은 연준의 정책 방향뿐 아니라 정치적 리스크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주 리사 쿡 연준 이사 해임을 발표했으나, 쿡은 이를 불법이라며 28일 연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추가 인사를 단행할 경우 연준 이사회 구성을 비둘기파로 기울일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지만, 동시에 중앙은행 독립성 훼손 우려가 커지고 있다.
◆ 실업수당·GDP 지표는 개선…PCE·고용 대기
이날 발표된 경제지표는 비교적 긍정적이었다.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전주보다 5,000건 줄어든 22만9,000건으로 집계돼 노동시장이 여전히 견조함을 시사했다. 2분기 GDP 성장률도 연율 3.3%로 상향 수정돼 앞서 발표된 3.0%를 웃돌았다.
그러나 시장은 29일 발표될 7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와 다음 주 예정된 고용보고서에 더 큰 관심을 두고 있다.
◆ 미 달러화 약세 지속…유로·엔·위안 강세
외환시장에서는 미 달러화가 주요 통화에 대해 약세를 보였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의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0.34% 내린 97.83을 기록했다.
유로/달러 환율은 0.43% 오른 1.1688달러, 파운드/달러는 0.13% 오른 1.3516달러를 각각 나타냈다. 달러/엔은 0.40% 떨어진 146.81엔에 거래됐다.
냇웨스트 마켓츠의 브라이언 데인저필드 G10 FX전략 헤드는 로이터에 "지금은 미 고용 상황과 그것이 연준의 정책에 어떻게 반영될지가 (금융 시장의) 핵심이다. 다음 주 나올 비농업고용 보고서가 균형을 한쪽으로 기울게 하는 순간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koinw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