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유사시 한반도 방어를 위한 정례 한미 연합연습인 '을지 자유의 방패'(UFS·을지프리덤실드)가 28일부로 막을 내렸다.
이번 연습은 지난 18일 시작돼 육·해·공은 물론 우주·사이버·정보 영역까지 아우르며 연합·합동 작전이 실시됐다. 특히 최근 전쟁 양상을 반영한 현실적 위협 시나리오가 적용됐다.
한미연합군사령부는 "이번 연습으로 한미동맹의 굳건한 방어 태세를 재확인했고 연합 대비 태세를 더욱 강화했으며, 어떠한 도발도 억제하고 필요시 양국을 방어할 수 있는 능력을 입증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대한민국 정부와 민간기관, 긴급 대응 인력도 참여해 위기관리와 민간인 보호 절차를 함께 점검했다고 설명했다.
유엔군사령부는 일부 회원국 병력을 직접 파견해 다국적 연합작전의 상호운용성을 입증했다.
![]() |
[여주=뉴스핌] 류기찬 기자 = 한미연합정례훈련인 '을지 자유의 방패'(UFSㆍ을지프리덤실드) 연습기간인 지난 27일 오전 경기도 여주시 남한강 일대에서 제 7군단 공병여단, 미군 제2보병사단, 한미연합사단 제11공병대대 장병들이 한미연합 도하훈련을 하고 있다. 2025.08.27 ryuchan0925@newspim.com |
주한 미 8군은 지상 구성군으로서 전국 각지에서 연합훈련을 진행하며 우리 육군과의 상호운용성을 검증했다. 도하 훈련, 군수지원 협력, 항공자산 활용, 카투사 동원훈련, 해상 대특수작전부대 훈련, 과학화전투훈련단 기동훈련 등이 대표적이다.
공중 전력 측면에서는 주한 미 제7공군과 한국 공군이 한반도 전역에서 수천 회 출격해 제공권 확보, 근접항공지원, 차단 작전 등을 수행하며 5세대 전투기를 포함한 다양한 항공 전력을 통합 운용했다.
주한 미 우주군은 공군 우주작전단과 함께 우주 인식·탐지·경보 능력을 향상시켰고, 해군은 제7함대·한국 해군작전사령부와 연합작전을 강화했다. 또한 미·한 해병대는 상륙작전 태세와 기동능력 제고에 집중했다.
특수전 분야에서도 주한 미 특수전사령부와 한국 특수전부대가 대량살상무기 대응, 직접타격, 특수정찰 임무 숙달에 주력했다.
올해 연습 규모는 예년과 비슷했지만, 계획된 야외기동훈련(FTX) 40여 건 중 절반가량은 다음 달로 연기됐다. 합참은 폭염을 공식 사유로 제시했으나, 북한의 반발도 일정 조정 배경에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parksj@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