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티아고의 동점골, 츄마시의 역전골로 6회 연속 우승 도전
광주, 조성권과 신창무의 연속골로 합계 스코어 4-1 결승 진출
[서울=뉴스핌] 남정훈 기자 = K리그1 선두 전북 현대가 경기 막판 집중력을 발휘하며 짜릿한 역전 드라마를 연출했다. 후반 추가 시간에만 두 골을 몰아치며 강원FC를 꺾고 2년 만에 코리아컵 결승 무대에 복귀, 통산 6번째 우승을 노리게 됐다.
전북은 27일 오후 7시 30분 강릉하이원아레나에서 열린 강원과의 코리아컵 4강 2차전에서 후반 11분 김대원에게 페널티킥 선제골을 내줬지만 후반 추가 시간 4분 티아고의 페널티킥 동점골과 후반 추가시간 9분 츄마시의 극적인 역전골로 2-1 역전승을 거뒀다. 앞서 1차전에서 1-1 무승부를 거뒀던 전북은 합계 스코어 3-2로 결승에 진출했다.
![]() |
[서울=뉴스핌] 전북의 츄마시가 27일 강릉에서 열린 코리아컵 4강 강원과의 경기에서 후반 추가시간 극장골을 넣고 세리머니 하고 있다. [사진 = 대한축구협회] 2025.08.27 wcn05002@newspim.com |
경기 초반 강원이 먼저 분위기를 잡았다. 전반 22분 김대원이 슈팅을 시도해 전북 골망을 흔들었으나, VAR(비디오판독시스템) 판독 결과 득점 이전 장면에서 박호영이 김진규에게 반칙을 허용하며 골은 인정되지 않았다. 하지만 강원은 끊임없이 공격을 이어갔고, 결국 후반 3분 전북 수비수 김태환의 반칙이 VAR 끝에 페널티킥으로 선언됐다. 거스 포옛 감독이 판정에 강하게 항의하다가 퇴장을 당하는 변수까지 생겼다.
결국 키커로 나선 김대원이 침착하게 오른발 슈팅을 성공시키며 강원이 앞서갔다. 전북은 이승우의 만회골이 또다시 반칙으로 인해 VAR 판독으로 취소되는 불운까지 겹쳤다. 그러나 포기하지 않은 전북은 경기 종료 직전 승부를 뒤집었다. 후반 추가시간 1분 감보아가 얻어낸 페널티킥을 티아고가 성공시키며 동점을 만들었고, 이어 추가 시간 9분 오른쪽 측면에서 올린 전진우의 낮은 크로스를 츄마시가 원터치로 마무리하면서 값진 역전승을 완성했다.
![]() |
[서울=뉴스핌] 강원FC의 김대원(가운데). [사진 = 대한축구협회] 2025.08.27 wcn05002@newspim.com |
같은 시각 부천종합운동장에서는 또 다른 준결승전이 열렸다. 광주FC가 부천FC를 2-1로 꺾고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코리아컵 결승 무대에 오르는 쾌거를 이뤘다. 이미 1차전 홈경기에서 2-0으로 이겨 이미 유리한 고지를 선점했던 광주는 합계 4-1로 부천을 제압하고 결승 티켓을 손에 넣었다.
이날 경기는 2부리그 소속 부천의 기세가 먼저 돋보였다. 전반 종료 직전 갈레고의 중거리 슈팅을 광주의 골키퍼 김경민이 제대로 잡아내지 못했고, 흐른 공을 이의형이 밀어 넣으며 선제골을 뽑았다. 부천은 이어진 세트피스 찬스에서도 추가 득점 기회를 잡았으나 마무리에 실패했다.
![]() |
[서울=뉴스핌] 광주FC의 조성권(오른쪽). [사진 = 대한축구협회] 2025.08.27 wcn05002@newspim.com |
광주는 후반 들어 반격에 나섰다. 후반 10분 오른쪽에서 올린 정지훈의 크로스를 조성권이 헤더로 연결하며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이후에도 경기 흐름을 주도하던 광주는 후반 34분 최경록의 낮은 크로스가 신창무에게 연결되면서 역전골을 만들어냈다. 신창무의 왼발 슈팅이 그대로 골망을 흔들며 광주는 사실상 결승행을 확정 지었다. 경기 막판 신창무가 추가 득점을 노렸지만 상대 골키퍼의 선방에 막히면서 스코어는 더 이상 변하지 않았다.
이로써 광주는 창단 이후 처음으로 코리아컵 결승 무대에 오르게 됐다. 반면 전북은 2023년 이후 2년 만에 결승 무대에 복귀, 통산 6회 우승을 통해 포항 스틸러스와 어깨를 나란히 할 기회를 잡았다. 이와 동시에 리그 우승과 함께 더블을 노린다.
![]() |
[서울=뉴스핌] K리그2 부천FC1995의 이의형. [사진 = 대한축구협회] 2025.08.27 wcn05002@newspim.com |
2025 코리아컵 결승전은 오는 12월 6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다. 대한축구협회는 지난해부터 대회 결승전을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치르기로 방침을 세운 바 있으며, 올해 역시 같은 무대에서 새로운 챔피언이 탄생하게 된다.
wcn050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