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상수도관 교체로 연간 33억원 절감 효과
2025년까지 중앙정부 지원금 194억원 확보
2030년까지 유수율 85% 달성 목표 설정
[진주=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 진주시는 노후 상수도관 교체, 정수장 현대화, 스마트 원격검침 시스템 구축 등 '3대 혁신 사업'을 본격 추진하며 깨끗하고 안전한 수돗물 공급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단순한 시설 개선을 넘어 유수율 향상, 경영 효율 제고, 신뢰받는 수도행정 구현에까지 성과가 확산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 |
정수장 현대화사업 조감도 [사진=진주시] 2025.08.25 |
◆노후 상수도관 교체로 유수율 제고…연간 33억원 절감 효과
진주시는 민선 7기 이후 매년 평균 87억원을 투입해 50km 규모의 노후 상수관로를 교체, 총사업비 612억원으로 354km 구간을 정비했다. 이로써 상수관로 노후율은 2017년 46.2%에서 8.3%p 감소한 37.9%로 낮췄다.
유수율은 같은 기간 67.5%에서 74.1%로 상승, 연간 33억원의 예산을 절감하는 성과를 냈다. 진주시는 국비 확보에도 주력해 지난해 환경부 '2025년 노후 상수관망 정비사업' 대상지로 선정되며 중앙정부 지원금 194억원을 확보했다.
이 예산은 상대·상평·하대·초전동 일대 47.7km 교체에 투입되며, 2030년까지 유수율을 85%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진성면 등 광역상수도권에 진행 중인 '지방상수도 현대화사업'은 내년 2월 준공을 앞두고 있으며, 공사 전 49%에 불과했던 유수율이 현재 85%로 대폭 개선됐다.
◆정수장 현대화사업, 공정률 43.5%…2027년 완공 목표
진주시는 2023년부터 911억원을 들여 노후 정수장을 통합·정비하는 현대화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사업은 최신 정수 처리공법과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해 운영 효율을 높이고,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현재 공정률은 43.5%로 정상 추진 중이며, 완공 시 하루 처리용량 확대와 함께 미량 유해물질·조류까지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안전한 수돗물 공급이 가능할 전망이다. 진주시는 이를 통해 시민 건강보호와 생활환경 개선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스마트 원격검침 시스템 도입…2028년까지 전면 구축
스마트 상수도 구축도 속도를 내고 있다. 시는 2021년부터 총 170억원을 투입해 현장방문 중심 검침을 원격 자동화 방식으로 전환하고 있다. 현재 전체 계량기 5만7000여 개 중 3만3000개를 교체 완료했으며, 오는 2028년까지 시 전역을 스마트 원격검침 계량기로 교체한다.
이 시스템은 실시간 수요가 분석과 누수 조기 탐지를 가능케 해 물손실을 최소화하고, 정확한 요금 부과로 시민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 절감된 예산은 요금 감면 확대에 활용돼, 2024년부터는 기초생활수급자 외에 국가유공자, 장애인, 한부모 가정, 다자녀 가구까지 지원이 확대됐다.
정규엽 진주시 맑은물사업소장은 "스마트검침과 유수율 개선 성과를 시민들에게 환원하며 물 복지 수준을 지속적으로 높여가겠다"며 "앞으로도 노후 상수도관 교체와 체계적인 관리로 건강하고 안전한 수돗물 공급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이번 상수도 혁신 사업으로 물 공급 안정성과 경제적 효과를 동시에 달성, 수도요금 인상 요인을 줄이고 시민 편익을 극대화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