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노동시장 약세 언급하며 금리 인하 가능성 열어
국채 금리 급락, 미 달러화 약세
다음 주 엔비디아 실적에 시선 고정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미국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가 22일(현지시간) 일제히 큰 폭으로 상승 마감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놓으면서 시장은 환호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46.24포인트(1.89%) 급등한 4만5631.74로 사상 최고치에서 마감했다.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96.74포인트(1.52%) 오른 6466.91로 신고가에 근접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396.22포인트(1.88%) 상승한 2만1496.53을 기록했다.
이날 뉴욕증시는 파월 의장의 잭슨홀 심포지엄 기조연설을 앞두고 강세 출발했다. 파월 의장은 시장의 기대에 부합하는 연설을 했다.
마지막 잭슨홀 기조연설에서 파월 의장은 노동시장의 하방 위험을 강조하면서 균형의 변화가 정책 기조의 조정을 정당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이 같은 파월 의장의 발언이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이라고 평가했다. 시카고상업거래소(CME) 그룹 페드워치(FedWatch)에 따르면 금리 선물 시장 참가자들은 오는 9월 연준이 금리를 내릴 가능성을 80% 이상으로 반영했다. 파월 의장의 연설 전 이 같은 확률은 70%대였다.
![]() |
22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트레이더들이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잭슨홀 심포지엄 연설을 듣고 있다.[사진=로이터 뉴스핌] 2025.08.23 mj72284@newspim.com |
노스라이트 애셋 매니지먼트의 크리스 자카렐리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이제 연준이 한 달도 안 되는 시간 후에 금리를 동결하기 위해 넘어야 할 문턱은 극도로 높아졌다"며 "시장 반응이 크게 환영 일색인 것은 놀랍지 않으며, 오늘 오후 가격이 현재 거래되는 수준에서 마감된다면 주식과 채권 투자자 모두 만족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향후 금리 인하 경로에 대해 시장이 지나치게 낙관해서는 안 된다고 조언한다. 에릭 로젠그렌 전 보스턴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나는 그가 확약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며 "다만 현재 지표가 진행 중인 방향으로 계속 이어진다면 확약이 되는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러면서 "파월은 여지를 남겨뒀지만, 반드시 그렇게 하겠다는 것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존 핸콕 인베스트먼츠의 매슈 미스킨 공동 CIO는 "파월은 9월 금리 인하를 확실히 고정했고, 그에 대한 확실성이 글로벌 시장 전반에 긍정적으로 파급되고 있다"며 "그렇다면 9월 이후에는 어떻게 될 것인가? 나는 시장이 그 부분에서 앞서가고 있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금리 인하 기대가 커지면서 미 국채 수익률은 큰 폭으로 내렸다. 뉴욕 채권시장에서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전장보다 7.1bp(1bp=0.01%포인트(%p)) 내린 4.260%를 기록했다. 정책 금리에 민감한 2년물은 10.2bp 급락한 3.690%를 가리켰고 30년물은 4.1bp 밀린 4.880%를 나타냈다. 채권 금리는 가격과 반대로 움직인다.
같은 이유로 미 달러화는 하락했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달러화 지수)는 전장보다 0.89% 내린 97.74를 기록했다. 유로/달러 환율은 0.96% 오른 1.1720달러, 달러/엔 환율은 0.96% 하락한 146.95엔을 나타내 달러 약세를 반영했다.
국제유가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평화 협정 불확실성 속에서 소폭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0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보다 배럴당 14센트(0.22%) 오른 63.66달러에 마감했다. ICE 선물거래소의 브렌트유 10월물은 6센트(0.09%) 상승한 67.73달러를 기록했다.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진 가운데 금값도 크게 올랐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선물 12월물은 온스당 1.1% 상승한 3418.50달러에 마감했다. 금 현물은 미국 동부 시간 오후 1시 31분 기준 1.1% 오른 3373.89달러를 기록했다.
시장 변동성은 급격히 줄었다. '월가의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14.16% 급락한 14.25를 나타냈다.
◆ 인텔, 정부 10% 지분 인수에 급등…내주 엔비디아 실적에 주목
S&P500 11개 업종 중 0.35% 내린 필수 소비업을 제외한 10개 업종이 상승했다. 이 중에서도 에너지 업종은 1.99% 올랐으며 부동산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는 각각 1.62%, 1.87% 상승했다.
엔비디아는 미국 정부와 중국에 첨단 반도체 칩을 추가 수출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는 소식 속에서 1.72% 올랐다.
인텔의 주가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0% 지분 인수를 확인하며 5.53% 급등했다.
반면 재무 기술 회사 인튜이트의 주가는 회계연도 1분기 매출액 증가율이 월가 기대에 못 미치며 5.03% 내렸다.
전기차 회사 루시드는 1 대 10의 역주식분할을 발표하며 2.87% 급락했다.
주간 기준으로 다우지수는 1.5% 올랐으며 S&P500지수는 0.3% 상승했다. 반면 나스닥 지수는 0.6% 하락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다음 주 27일 발표되는 엔비디아의 실적에 주목하고 있다. 인공지능(AI)의 대표 기업인 엔비디아의 실적은 기술주 전체를 흔들어 놓을 수 있는 재료다.
월가에서는 실적 발표를 앞두고 엔비디아의 목표 주가 상향 조정이 이어졌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이번 주에만 최소 9명의 애널리스트가 엔비디아의 목표가를 올렸다.
잭스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의 브라이언 멀버리 클라이언트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엔비디아의 성장이 매우 견고하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분위기"라며 "애널리스트들이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는 것은 단순히 필요하기 때문이며 이 주식은 둔화할 기미가 없다"고 분석했다.
굵직한 경제 지표도 예정돼 있다. 28일에는 2분기 국내총생산(GDP) 수정치가 발표된다. 속보치는 2분기 미국의 GDP가 전기 대비 연율 3.0% 성장한 것으로 발표된 바 있다.
29일에는 연준이 주목하는 물가 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의 7월 수치가 공개된다. 경제 전문가들은 PCE 물가지수가 지난달 전월 대비 0.3% 올랐을 것으로 예상했다.
mj722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