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세종집무실 건립, 신속추진과제로 선정
당과 정부 등 협의 통해 가능한 빠른 시일내 추진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박수현 국정기획위원회 국가균형성장특별위원회 위원장이 대통령 세종집무실 건립을 신속추진과제로 선정하고 조속히 설계공모에 착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박수현 국정기획위원회 국가균형성장특별위원회 위원장이 브리핑하고 있다. 2025.08.05 min72@newspim.com |
5일 세종청사 중앙동에서 열린 국정기획위원회 국가균형성장특별위원회 브리핑에서 박수현 위원장은 "세종 집무실 건립을 위한 법적 근거가 2022년 '행복도시법' 개정을 통해 이미 마련된 만큼 행정수도 완성의 첫 단추로 집무실 건립 절차에 신속하게 착수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 역시 세종 집무실을 임기내 건립하고 국민적 합의를 거쳐 행정수도를 완성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박 위원장은 "2003년 故 노무현 대통령은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핵심 공약으로 행정수도 이전을 추진했다"면서 "2004년 헌법재판소의 판결에 따라 행정수도 이전의 대안으로 시작된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이 본격화됐고, 2007년 착공 이후 중앙행정기관과 국책연구기관의 이전이 이뤄지며 국가 행정의 중심축으로 자리매김해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수도권 중심의 불균형은 여전히 심화되고 있으며 행정수도 완성의 필요성이 다시 제기되고 있다"며 "국가를 대표하는 품격있는 건축물로 대통령 세종집무실을 임기 내 건립하고 세종시가 국가 균형성장의 중요한 거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신속추진과제 선정은 그동안 차질이 있던 행정수도 완성을 확실하게 추진하겠다는 대국민 약속의 의미라고 강조했다.
박 위원장은 "그동안 행정수도에 관해서 국민들이 느끼는 마음은 불신, 불안 등과 연결되지 않을까 싶다"면서 "그러면에서 이재명 정부는 행정수도를 차질없이 추진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특별법이나 개헌에 대한 질문에 대해선 "법적인 문제는 국회에 행정수도와 관련된 특별법이 이미 제출된 상태"라며 "새로운 민주당 지도부가 꾸려진 상황에서 당과 정부, 대통령실이 협의를 통해 가능한 빠른 시일내에 추진되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구체적인 완공 시점이나 규모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강주엽 행복청장은 "대통령 세종집무실의 경우 건축·토목 공사가 혼합돼 이뤄지다보니 현장 여건 등에 따라서 공기에 많은 변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여러가지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들이 개발돼 있는 만큼 이번 임기내에 대통령 세종집무실을 차질없이 완료하라는 국민적 요구에 따라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경수 대통령직속 지방시대위원회 위원장은 "행정수도 완성은 대통령의 공약"이라며 "새롭게 검토하고 필요 내용을 관계기관·관계부처와 협의해 설계공모도 그에 맞게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구체적으로 면적이 어느정도 될지는 도시계획과 건축설계가 동시에 진행되면 국가상징구역의 도시계획과정에서 행정수도에 걸맞는 대통령실의 규모 등이 확정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국회 세종의사당의 경우 2033년까지 완공시점이 늘어난 부분에 대해 강 행복청장은 "지난 연말과 올해초 탄핵정국과 조기대선이 있다보니 당초 계획했던 절차가 지연되고 있는 건 사실"이라며 "새 정부다 들어섰기 때문에 관계기관과 협의를 조속히 마무리해 국가상징구역 조성을 하겠다"고 답했다.
행정수도 완성 과제를 위해 당초 대통령 제2집무실이란 용어도 대통령 세종집무실로 명명했다고 설명했다. 박 위원장은 "신속추진과제 선정으로 건의했고 그 과정에서 대통령 제2집무실을 공식적으로 대통령 세종 집무실로 바꾸자고 건의했고 국정위에서 결정됐다"면서 "부속적인 의미가 아닌 그 자체가 본질이라는 측면에서 명칭을 확실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min7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