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서울문화재단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오는 9일부터 17일을 '광복주간'으로 선포하고,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공연, 전시 등으로 구성된 특별기획 '독립, 너의 미래를 위해서였다'를 노들섬 전역에서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했던 독립운동가 양우조·최선화 부부가 쓴 '제시의 일기' 속 글귀에서 제목을 차용해 과거와 현재, 미래를 관통하는 서사로 연결해 특별기획했다. 공연과 전시를 비롯해 시민이 직접 주인공이 되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독립의 역사를 기억하고 광복의 의미를 재발견 할 수 있도록 다채롭게 구성했다.
![]() |
노들섬 야외전시 '역사 속의 태극기' 전시 이미지. [사진=서울문화재단] |
오는 9일 오후 7시 30분, 노들섬 잔디마당에서 1천 명의 시민이 참여하는 기념행사로 광복주간의 문을 연다. '큰별쌤'으로 잘 알려진 최태성의 사회로 서울시소년소녀합창단 합창 공연, 뮤지컬 '민들레피리'에서 윤동주 시인 역을 맡은 배우 박영수의 윤동주 시 낭독과 노래, 서울시 명예시장 배우 고두심의 안중근 의사 모친 조마리아 여사 편지 낭독, 서경대학교 뮤지컬 전공 학생들이 선보이는 뮤지컬 '영웅' 갈라 등이 이어진다.
이 날 행사의 하이라이트는 '광복주간 선포식'으로 노들섬 전역에 설치된 1천 개의 태극기 바람개비에 불어오는 바람(wind)과 군인, 청소년, 어린이 등 시민 대표 10인과 현장에 모인 1천명의 시민관객이 흔드는 1천 개의 태극기까지 총 2025개의 태극기에 담긴 시민 각자의 바람(wish)이 만나는 의미를 형상화한 '초대형 태극기 설치미술 작품 점등식'이다.
기념행사를 시작으로 노들섬 전역에는 태극기의 가치와 독립의 의미를 되새기는 축제가 17일까지 계속된다. '역사 속의 태극기展'(노들 야외스퀘어)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태극기인 '데니 태극기'부터 일제강점기 시기의 태극기, 광복 이후의 태극기 등 시대별로 변화해 온 16개의 대형 태극기가 한반도 형상 위에 전시되며, 태극기 역사기록 사진展 '태극, 빛이 되다'(노들라운지)에서는 일제강점기 저항의 상징, 해방 이후 연대와 자유의 표상, 이후 올림픽과 월드컵 등 온 국민이 하나되는 순간마다 민족의 희로애락을 함께해온 태극기를 사진으로 볼 수 있다.
![]() |
노들섬 잔디마당에 설치되는 초대형 태극기. [사진=서울문화재단] |
또한 여성 독립운동가 초상화展 '광복의 모든 이름'(노들갤러리 2관)에서는 태극기를 가슴에 품고 독립을 꿈꿨지만 조명되지 않았던 여성 독립운동가들을 만날 수 있다. 노들섬 전역에서 열리는 전시를 관람한 뒤 일상으로 돌아갈 시민들이 광복의 의미를 사유하고 감사함을 되새기는 계기가 될 것을 기대한다.
이외에도 시민예술가와 함께하는 릴레이 버스킹 공연 '구석구석 라이브'(8.10.~17. 오후 5시~8시, 잔디마당), 독립운동과 역사를 다룬 영화 상영회 '대한민국, 영화로 보다'(8.9.~17.), 요일별 시간상이, 노들서가), 공모를 통해 선발된 시민 도슨트가 전시를 설명하는 시민 도슨트 투어(8월 9일, 15일, 일 10회)를 운영한다. 전시 관객을 대상으로 SNS 인증 이벤트와 방문후기 작성 이벤트 등 다채로운 부대 행사와 이벤트가 광복주간 내내 온오프라인에서 진행된다.
송형종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는 "광복은 단순히 80년 전 과거의 일이 아니라 여러 독립운동가들과 시민들의 저항과 노력으로 이뤄낸 독립, 지금과 같은 눈부신 발전과 빛나는 삶을 이룬 현재, 그리고 다음 세대를 위해 함께 만들어 나가야 할 미래를 이어주는 연결고리"라며, "예술을 통해 우리 모두에게 광복이 어떤 의미인지 그 가치를 살피는 계기가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준비한 이번 특별기획에 시민 여러분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jyy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