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경문 부산울산경남취재본부장 |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 창원시가 2025년 상반기 시정 운영의 리더십 부재와 행정 구조적 문제로 인해 각종 현안 대응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시장직 공백이 수개월째 이어지면서 시정 책임성과 정책결정 기능이 사실상 멈춰 선 것이 주요 원인이다.
현안 실무는 권한대행 체제로 유지되고 있으나, 중대 결정과 장기 정책 집행력은 현저히 떨어졌다는 평가다.
실제로 창원NC파크 안전사고와 프로야구단 연고 이전 논란, 시내버스 파업 등 굵직한 현안이 발생했으나, 창원시는 초기 대응부터 명확한 입장조차 내놓지 못했다.
현안 협상과 책임 결정을 내려야 할 선출 시장의 공석, 그리고 주요 부시장마저 검찰 수사 대상에 오르며 시 행정력은 사실상 '공백 상태'란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행정 조직의 구조적 한계 또한 명확하다. 빠르게 진행되는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특례시' 지위 유지조차 불투명하다.
창원시 인구는 2025년 기준, 이미 100만 명 선 붕괴가 현실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중앙정부와의 예산 지원 등 주요 정책 동력이 약화되는 구조적 위기가 누적되고 있다.
청년 유출에 따른 생산가능 인구 감소, 노인 부양 부담 증대 등 지역 활력 저하 역시 행정 수요에 비해 대응 역량이 부족하다는 문제를 심화시키고 있다.
이어, 행정 혼란기에 대규모 예산이 수반되는 수소 플랜트·도시개발 등 굵직한 투자사업까지 한꺼번에 몰리면서, 중대하고 시급한 결정이 필요한 상황에서 '정책 공백'은 더욱 뚜렷하다. 시민사회와 전문가들은 집행력 강화와 리더십 회복, 구조 혁신을 강도 높게 촉구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창원시 행정은 시장 부재로 인한 리더십 공백, 구조적 인구 문제, 주요 현안 대응력 부재 등이 맞물리며, 2025년 현재 시민 안전 및 지역 미래전략 수립 등 모든 측면에서 위기 상황을 맞고 있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