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급 5.8% 인상에 성과보상금 추가…실질 인상률 9%
직무·기여도 기준한 차등 보상 체계 도입
"성과 연계 보상은 AI 전환 위한 필수 전략"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는 24일, 노사 간 임금협상과 관련해 '미래 성장을 위한 보상'이라는 관점에서 입장을 밝혔다. 성과 중심 보상 문화는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필수적 전략이라는 점에서, 자사 전략을 반영한 경쟁력 있는 제안이라는 설명이다.
한컴 측이 제시한 최종안은 기본급 5.8% 인상과 별도 일시금 지급을 포함하며, 이를 합산한 실질 평균 인상률은 6%대 중후반에 달한다. 여기에 올해 신설된 성과보상금을 포함하면 9%를 넘는 수준으로, 이는 포털·게임사 등 주요 IT 대기업과 비교해도 상위권에 속한다고 강조했다.
한컴은 이번 협상안을 통해 연봉을 일률적으로 인상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개인의 직무와 기여도에 따라 차등 보상하는 체계를 도입했다. 분기별 우수 성과자(MVP)를 선정해 즉시 보상하고, 탁월한 성과가 있는 경우 연내 중복 수상도 가능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공정한 보상 체계를 마련하고 조직 전반의 효율성과 구성원의 동기를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 |
사진은 기사와 무관. [사진=뉴스핌DB] |
한컴은 수년간 실적과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연봉을 인상해왔으며, 특히 지난 2021년에는 전 직원을 대상으로 최대 800만 원을 일괄 인상한 바 있다. 이 같은 인재 투자는 AI 서비스 기업 전환을 위한 핵심 성장 전략으로, 기술 개발과 인프라 투자 등 막대한 자원이 필요한 상황에서 '성과와 보상의 선순환' 구조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입장이다.
한컴은 노조와의 협의에는 성실히 임하겠지만, 성과주의 보상 원칙은 양보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단기적인 갈등 해소를 위해 장기적인 성장 전략을 포기하는 것은 오히려 구성원 전체에 불리하다는 판단이다.
한컴 측은 "기여한 만큼 공정하게 보상하는 문화는 회사의 미래를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할 약속"이라며, "이 원칙을 바탕으로 구성원들과의 소통을 이어가며 함께 성장하는 합리적인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전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