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로보뉴스 = 하나증권에서 24일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에 대해 '2Q25 Review: 가이던스 상향, 빠른 Ramp-up 효과'라며 투자의견 'BUY'의 신규 리포트를 발행하였고, 목표가 1,450,000원을 내놓았다. 전일 종가 기준으로 볼 때, 이 종목의 주가는 목표가 대비 36.3%의 추가 상승여력이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 삼성바이오로직스 리포트 주요내용
하나증권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에 대해 '2Q25 실적은 로직스 별도 매출액 1조142억원(YoY+25.2%), 영업이익 4,770억원 (YoY+44.9%, OPM 47.0%), 에피스는 매출액 4,010억원(YoY-24.3%), 영업이익 898억원 (YoY-65.1%, OPM 22.4%)로 또 서프라이즈를 달성하였다. 지난 분기에 로직스의 현저히 낮아진 원가율(‘24년 평균 51.3% → 1Q25 45.8%)이 이번 분기에도 유사한 수준(44.2%) 이었고, 4월 5공장 가동에도 불구하고 4공장 Ramp-up 속도가 증가한 고정비를 상당 부분 분산하여 직전 분기 보다 더 낮은 판관비율(11.2% → 8.8%)을 달성했다. 에피스의 분기 실적이 크게 감소하는 것처럼 보이나 2Q24에 2,200억원의 마일스톤을 수령했기 때문이 고, 제품 매출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약 28% 성장했다. QoQ로 성장세를 확인하긴 어려 우나, 스텔라라BS가 유럽과 미국 출시되었고, 솔리리스BS도 미국에 출시되어 바이오시밀러 시장이 격화되는 중에도 대형 마일스톤이 있었던 24년의 매출 수준은 유지하겠다는 올해 가이던스는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분석했다.
또한 하나증권에서 '이번 실적발표와 함께 연결 매출 가이던스를 YoY+20~25%에서 +25~30%로 상향하였다. 환율(원/달러 매매기준율) 1분기 평균 1,453원에서 1,350원 전후반까지 하락한 상태이나, 연초의 회사 가이던스는 하반기 환율 하락을 감안한 것이고, 최근 관세나 약가 인하 관련 어두운 분위기가 다소 반전되거나 장기화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예측한 것과 달리 원가율 및 판관비 상승이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금번 가이던스 상향으로 변경된 ‘27F EBITDA를 반영하여 목표주가를 상향한다. 다만 이번 분기에 확인된 매출 및 이익 상승과 가이던스 상향은 로직스 비중이 현저히 크기 때문에, 목표 주가 상향은 로직스의 기업가치 상향 영향이다.'라고 밝혔다.
◆ 삼성바이오로직스 직전 목표가 대비 변동
- 목표가 상향조정, 1,310,000원 -> 1,450,000원(+10.7%)
- 하나증권, 최근 1년 목표가 상승
하나증권 김선아 애널리스트가 이 종목에 대하여 제시한 목표가 1,450,000원은 2025년 07월 04일 발행된 하나증권의 직전 목표가인 1,310,000원 대비 10.7% 증가한 가격이다. 최근 1년 동안 이 종목에 대해 하나증권이 제시한 목표가를 살펴보면, 24년 07월 25일 1,050,000원을 제시한 이후 상승하여 이번에 새로운 목표가인 1,450,000원을 제시하였다.
◆ 삼성바이오로직스 목표가 컨센서스 비교
- 평균 목표가 1,315,833원, 하나증권 가장 긍정적 평가
- 지난 6개월 대비 전체 컨센서스 낙관적 변화
- 목표가 상향조정 증권사 1개
오늘 하나증권에서 제시한 목표가 1,450,000원은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 목표가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전체 목표가 평균인 1,315,833원 대비 10.2% 높으며, 하나증권을 제외한 증권사 중 최고 목표가인 교보증권의 1,400,000원 보다도 3.6% 높다. 이는 하나증권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향후 방향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참고로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의 평균 목표가인 1,315,833원은 직전 6개월 평균 목표가였던 1,267,727원 대비 3.8% 상승하였다. 이를 통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향후 주가에 대한 증권사들의 전체적인 분석이 낙관적임을 알 수 있다.
이 기사는 뉴스핌과 금융 AI 전문기업 씽크풀이 공동 개발한 기사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실시간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삼성바이오로직스 리포트 주요내용
하나증권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에 대해 '2Q25 실적은 로직스 별도 매출액 1조142억원(YoY+25.2%), 영업이익 4,770억원 (YoY+44.9%, OPM 47.0%), 에피스는 매출액 4,010억원(YoY-24.3%), 영업이익 898억원 (YoY-65.1%, OPM 22.4%)로 또 서프라이즈를 달성하였다. 지난 분기에 로직스의 현저히 낮아진 원가율(‘24년 평균 51.3% → 1Q25 45.8%)이 이번 분기에도 유사한 수준(44.2%) 이었고, 4월 5공장 가동에도 불구하고 4공장 Ramp-up 속도가 증가한 고정비를 상당 부분 분산하여 직전 분기 보다 더 낮은 판관비율(11.2% → 8.8%)을 달성했다. 에피스의 분기 실적이 크게 감소하는 것처럼 보이나 2Q24에 2,200억원의 마일스톤을 수령했기 때문이 고, 제품 매출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약 28% 성장했다. QoQ로 성장세를 확인하긴 어려 우나, 스텔라라BS가 유럽과 미국 출시되었고, 솔리리스BS도 미국에 출시되어 바이오시밀러 시장이 격화되는 중에도 대형 마일스톤이 있었던 24년의 매출 수준은 유지하겠다는 올해 가이던스는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분석했다.
또한 하나증권에서 '이번 실적발표와 함께 연결 매출 가이던스를 YoY+20~25%에서 +25~30%로 상향하였다. 환율(원/달러 매매기준율) 1분기 평균 1,453원에서 1,350원 전후반까지 하락한 상태이나, 연초의 회사 가이던스는 하반기 환율 하락을 감안한 것이고, 최근 관세나 약가 인하 관련 어두운 분위기가 다소 반전되거나 장기화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예측한 것과 달리 원가율 및 판관비 상승이 크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금번 가이던스 상향으로 변경된 ‘27F EBITDA를 반영하여 목표주가를 상향한다. 다만 이번 분기에 확인된 매출 및 이익 상승과 가이던스 상향은 로직스 비중이 현저히 크기 때문에, 목표 주가 상향은 로직스의 기업가치 상향 영향이다.'라고 밝혔다.
◆ 삼성바이오로직스 직전 목표가 대비 변동
- 목표가 상향조정, 1,310,000원 -> 1,450,000원(+10.7%)
- 하나증권, 최근 1년 목표가 상승
하나증권 김선아 애널리스트가 이 종목에 대하여 제시한 목표가 1,450,000원은 2025년 07월 04일 발행된 하나증권의 직전 목표가인 1,310,000원 대비 10.7% 증가한 가격이다. 최근 1년 동안 이 종목에 대해 하나증권이 제시한 목표가를 살펴보면, 24년 07월 25일 1,050,000원을 제시한 이후 상승하여 이번에 새로운 목표가인 1,450,000원을 제시하였다.
◆ 삼성바이오로직스 목표가 컨센서스 비교
- 평균 목표가 1,315,833원, 하나증권 가장 긍정적 평가
- 지난 6개월 대비 전체 컨센서스 낙관적 변화
- 목표가 상향조정 증권사 1개
오늘 하나증권에서 제시한 목표가 1,450,000원은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 목표가 중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전체 목표가 평균인 1,315,833원 대비 10.2% 높으며, 하나증권을 제외한 증권사 중 최고 목표가인 교보증권의 1,400,000원 보다도 3.6% 높다. 이는 하나증권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향후 방향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참고로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의 평균 목표가인 1,315,833원은 직전 6개월 평균 목표가였던 1,267,727원 대비 3.8% 상승하였다. 이를 통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향후 주가에 대한 증권사들의 전체적인 분석이 낙관적임을 알 수 있다.
이 기사는 뉴스핌과 금융 AI 전문기업 씽크풀이 공동 개발한 기사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실시간으로 작성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