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정예산 대비 3.4% 증가…총 예산 49조7691억원
민생 4698억원·안전 1587억원·미래투자 1335억원
취약층 복지강화·노후인프라 보강·글로벌 매력 제고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가 소상공인·중소기업 지원과 취약계층 복지 강화, 저출생 대책에 4698억원을 투입한다.
서울시는 이런 내용을 담은 1조6146억원 규모의 '2025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하고 26일 서울시의회에 제출, 심의를 요청한다고 25일 밝혔다. 추경안은 이미 확정된 올해 예산 48조1545억원의 3.4%에 해당한다. 원안대로 통과되면 올해 총예산은 49조7691억원이 된다. 지난해 최종예산 47조3033억원과 견주면 2조4658억원이 많다.
이번 추경에서는 민생안정 4698억원, 도시안전 1587억원, 미래 투자에 1335억원이 배정되며 총 7620억원 규모의 '핀셋 투자'를 추진한다.
![]() |
2025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3대 투자중점 [자료=서울시] |
가장 많은 추경예산이 투입되는 민생 분야에는 저신용 소상공인 지원과 취약계층에 대한 복지 서비스 강화 등이 포함된다. 소상공인 지원에는 소상공인 안심통장 지원(180억원), 공공배달 서비스 활성화(15억원) 등에 287억원을, 수출감소 긴급 융자지원(112억원, 신규), 수출기업 보험료 지원(20억원) 등 중소기업 지원에는 242억원을 편성했다.
취약계층 지원에는 서울형 이음공제(2억원, 신규), 중장년 가치동행일자리 확충(22억원), 여성 새로일하기센터 운영(38억원), 장애인 버스요금 지원(36억원) 등 2986억원이 투입된다. 여기서 100억원은 취약계층 진료·비상진료 체계 유지를 위한 시립병원 운영지원(동부병원 49억원, 서남병원 51억원)에 들어간다.
저출산 대책 강화 지원에는 임산부 교통비 지원(73억원),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개선(55억원),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 확대(15억원), 서울형 아이돌봄비 확대(11억원), 주말특화 서울형 키즈카페(17억원, 신규) 등에 1183억원을 편성했다.
![]() |
도시안전 분야 지반침하 대책 [자료=서울시] |
도시안전 분야에는 1587억원이 투입된다. 세부적으로는 지반침하 대책 1462억원, 안전인프라 보수·보강이 125억원이다. 노후 하수관로 정비(1352억원), 노후 하수관로 정밀조사·기술진단(40억원), 대형 굴착공사장 GPR탐사 강화(56억원, 신규) 등이 편성됐다.
또 신림 공영차고지 내 빗물저류조 설치(29억원), 해체공사장 상시점검단 운영(2억원, 신규) 등을 편성했다.
추경안에는 미래투자 분야 1335억원도 담겼다. 인공지능(AI) 산업기반 조성에 354억원, 각종 인프라 조성 등 글로벌 매력 제고에 981억원이 투입된다.
인공지능대전환 펀드 조성(100억원), AI 서울 테크 장학금 지원(26억원), 글로벌 AI 연구소 서울 유치(19억원), 약자동행 시민 AI 비서 서비스(3억원), 생성형 AI 기반 '챗봇 2.0' 구축(17억원), 서울 AI플랫폼 구축(3억원) 등도 신규 편성됐다.
이와 함께 손목닥터9988 인센티브 확대 지원(313억원), 기후동행카드 운영(211억원), 서울문화유산센터 준공(41억원), 여의도공원 재구조화(34억원) 등을 편성했다.
정상훈 서울시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추경은 장기적인 경제 불황 속 민생을 최대한 지키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버팀목 지원이 핵심"이라며 "위기를 기회로 변화시킬 수 있는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의회 의결 즉시 추경 예산을 신속히 집행하겠다"고 말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