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 압도하는 영업이익률
팔란티어 닮은 꼴, 위험 요인은
이 기사는 5월 21일 오후 4시47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돈값 한다' FICO, 금융업계 팔란티어로 불리는 이유①>에서 이어짐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작년 페어아이작이 업계의 사정과 반발을 고려해 단일 수수료로 바꿨지만 단가 자체는 상승해 사실상 인상의 효과를 냈다. 그전에는 점수 조회당 0.6달러~2.75달러가 차등 적용됐지만 2024년분부터 조회당 3.5달러가 됐다. 또 올해분부터는 4.95달러가 부과될 예정이다. 추가적인 가격 인상에 대해 불만이 새어 나오기는 하지만 구간마다 요금이 들쭉날쭉해 갑작스럽게 수수료가 상승하는 사례는 줄었다고 한다.
페어아이작의 이익률은 기술 기업 못지 않게 높은 편이다. 2024회계연도(2023년 10월~2024년 9월) 연간 매출액 17억2000만달러에서 절반이 넘는 51%를 영업이익(8억8000만달러)으로 전환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FT)의 2024회계연도 영업이익률 45%, 구글 모회사 알파벳(GOOGL)의 영업이익률 32%를 모두 웃돈다. 3700명이라는 비교적 적은 직원 수를 통해 달성한 성과다.
◆금융계 '팔란티어'
일각에서는 페어아이작에 대해 금융업계의 '팔란티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정보 분석 업체 팔란티어가 정부 기관과 대기업의 이른바 '전략적 의사결정 인프라'로 기능하는 것처럼 페어아이작 역시 대출기관이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필수 요소다. 또 실생활에서 존재감이 드러나지 않아도 각자의 분야에서 행사하는 영향력이 상당하다. 두 회사 모두 네트워크 효과를 통한 지배력 또한 높다.
![]() |
페어아이작의 2025회계연도 2분기 결산 보충자료 갈무리 [사진=페어아이작] |
사업 트렌드를 선도하는 모습도 닮았다. 페어아이작은 2013년 'FICO 애널리틱 클라우드'라는 클라우드 구동형 소프트웨어 제품의 출시를 통해 서브스크립션 과금 모델을 처음 도입했다. 이른바 'SaaS로 불리는 클라우드 구동형 소프트웨어는 그 전부터 기술 업계에서 쓰이기는 했으나 금융 업계용 소프트웨어 분야에서는 비교적 이른 사례로 평가된다.
페어아이작의 소프트웨어 사업은 전체 매출액의 46%를 차지해 신용점수 부문(54%)과 함께 회사의 실적의 양대 축 역할을 한다. 금융기관의 대출 심사나 사기 탐지 고객 마케팅에 활용되는 소프트웨어로 대출 처리 과정에서 수반되는 수동 프로세스를 최소화해 승인 속도를 높이고 비용을 줄여주는 목적으로 설계됐다. 관련 소프트웨어서 발생하는 반복적인 매출은 실적 예측 가능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현재까지 매출 증가율이나 이익률의 면에서 신용점수 사업부(영업이익률 89%, 소프트웨어는 32%)의 열위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애널리스트 사이에서는 잠재력이 큰 사업부로 평가된다. 인공지능(AI) 기술의 보급으로 인해 페어아이작의 소프트웨어 같은 이른바 의사결정 인텔리전스 플랫폼 시장의 성장 속도는 한층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돼서다.
아직 페어아이작의 소프트웨어에 도입된 AI 기술은 다른 AI 기업과 비교할 때 두각을 드러내기 힘든 수준이라고 해도 회사가 약 70년 동안 축적한 신용 데이터 분석 역량은 신규 경쟁사가 쉽게 복제할 수 없는 진입 장벽이 될 잠재력을 가진다. 매년 100억여건의 점수 조회에 따른 데이터는 회사 모델의 예측력을 높여 경쟁사가 동일한 품질의 데이터 세트를 확보하기 어려운 경쟁 우위력이 된다.
◆위험 요인은
막강한 시장 지배력을 지닌 페어아이작에도 리스크는 있다. 신용점수 수수료 인상폭 등에 대해 규제 당국의 제재를 받아 가격결정력에 제약이 걸릴 위험이 있다. 또 대출 수요가 금리 여건과 경제 환경에 밀접하게 연동되나보니 거시경제의 변동 위험에 노출돼 있다. 고금리 기조와 주택시장 부진의 지속은 모기지나 자동차 대출 규모를 축소시켜 FICO 점수 조회 건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 |
모기지 시장의 핵심 기관인 페니메이나 프레디맥에서의 언더라이팅 기준의 변화 가능성도 위험 요인으로 거론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모기지 대출 심사에는 에퀴팩스와 익스페리언, 트랜스유니온 모두에서 신용 점수를 확인하는 이른바 '트라이머지' 방식이 쓰인다. 하지만 2곳에서만 점수를 확인하는 '바이머지' 체계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원래 일찍이 도입하려 했다가 지연된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FICO 점수의 조회 건수가 감소할 위험이 있다.
그럼에도 월가에서는 향후 수년 동안 연간 16% 내외의 견고한 성장률 예상하고 있다. 코이핀이 집계한 애널리스트 컨센서스에 따르면 2025회계연도 연간 매출액은 19억8000만달러로 작년보다 1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6회계연도와 2027회계연도의 예상 증가율은 각각 16%와 17%다.
bernard02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