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캠프 합류 공식적으로 알려…IR 전략 활용
'유진로봇' 임원 캠프 공개 직후...주가 120%↑
'캔버스엔·프롬바이오·크라우드웍스' 거래량 급증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오는 6월 3일 조기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일부 코스닥 상장사들이 경영진의 대선 캠프 참여 사실을 적극적인 투자자 소통(IR) 수단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단순히 정치 테마주로 분류되는 것을 넘어, 선거 관련 행보 자체를 시장 대응 수단으로 활용하려는 흐름이 포착되고 있다.
실제로 유진로봇을 비롯해 캔버스엔, 프롬바이오, 크라우드웍스 등은 임직원의 캠프 합류 사실을 직접 공개한 이후 주가가 일제히 급등했다. 기업이 정치권 인맥을 외부에 공식적으로 알리자, 시장은 이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단기간에 거래량과 주가 모두 크게 출렁였다.
물류로봇 전문기업 '유진로봇'은 가장 뚜렷한 반응을 보였다. 지난 10일 장동의 사외이사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미래기술 특별보좌관으로 합류한 사실이 알려지자, 유진로봇은 정치 테마주의 전형적인 급등 흐름을 보였다. 주가는 12일부터 14일까지 3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했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진로봇 주가는 9일 종가 7410원에서 14일 1만6260원으로 치솟으며 불과 사흘 만에 119% 상승했다. 시가총액은 약 2780억원에서 6100억원으로 두 배 넘게 늘었다. 같은 기간 누적 거래량은 약 1800만 주로, 직전 3거래일 거래량(약 11만 주)의 160배 수준까지 폭증했다.
다만 이후에는 차익 실현 매물이 쏟아지며 조정세에 들어선 모습이다. 이날(21일) 유진로봇은 전 거래일 대비 2.04% 하락한 1만2030원에 마감하며, 고점 대비 약 25% 하락한 수준이다.
![]() |
[인천=뉴스핌] 김학선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1일 인천 부평구 부평역 북광장에서 시민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2025.05.21 yooksa@newspim.com |
콘텐츠 플랫폼 기업 '캔버스엔'도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캔버스엔은 지난달 28일 김상진 부사장이 이재명 후보 캠프 산하 '문화기업 분과 위원장'으로 위촉됐다고 밝혔다. 발표 전 종가는 5850원이었으나, 당일 장중 고점 7600원을 기록한 뒤 급락해 하한가인 4100원으로 마감했다.
이후 2거래일간 각각 5.73%, 17.4% 반등하며 회복세를 보였고, 16일에는 장중 6290원까지 오르며 최고가를 기록했다. 최근 등락을 반복하며 이날 캔버스엔 종가는 전일 대비 18.73% 급락한 4365원을 기록했다. 발표 이후 누적 거래량은 약 760만 주, 최대 일간 거래대금은 238억원에 달했다.
건강기능식품 기업 '프롬바이오'는 강충경 기타비상무이사가 이재명 캠프 민생살리기본부 부본부장으로 참여하게 됐다는 사실 공개하자, 지난 12일 종가 2300원이던 주가는 15일 3445원으로 49.8% 상승했다. 이 기간 누적 거래량은 1억4800만 주를 넘겼으며, 하루 최대 거래대금은 2206억원에 이르렀다.
이날 프롬바이오 종가는 3030원으로 고점 대비 약 12% 조정된 상태다. 같은 날 거래량은 639만 주, 거래대금은 197억원 수준으로 다소 감소했다.
AI 데이터 기업 '크라우드웍스'도 정치권 인맥 관련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됐다. 김우승 대표이사가 이재명 캠프 산하 AI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참여한다고 밝히자, 지난달 28일 종가 1만450원이던 주가는 12일 1만6950원까지 올라 21% 상승했다. 시가총액은 970억원에서 1577억원으로 확대됐고, 거래량은 96만 주에서 1092만 주로 약 11배 증가했다.
그러나 이후 조정 흐름을 보이며 이날 크라우드웍스 종가는 1만1570원으로 마감했다. 이는 고점 대비 약 31.7% 하락한 수치다. 같은 날 거래량은 45만 주, 거래대금은 52억원 수준에 그쳤다.
기업들의 이 같은 움직임은 단순한 테마주 반응을 넘어, 정치적 행보를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전략의 하나로 활용하는 사례로 해석되고 있다. 대선이라는 전국적 이벤트에 맞춰 정치권 인맥을 공개함으로써 정책 수혜 기대감을 강조하고 이를 통해 시장과의 접점을 넓히려는 전략적 접근이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해당 기업들은 임직원의 캠프 합류 사실을 자체 발표나 공식 채널을 통해 직접 공개했다. 단순한 정치 이슈 노출을 넘어, 선거 참여 자체를 IR 수단으로 활용하는 흐름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다만 이런 흐름이 반복될 경우, 시장의 가격 형성 기능을 왜곡시키고 투자자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정치테마주는 합리적인 기업 실적에 대한 기대감에 기반해 가격이 움직이는 게 아니라 투기적 거래 수요들이 집중돼 움직인다"며 "대규모 투자 손실로 연결될 수 있어 투자자들은 각별히 신중히 판단해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 같은 우려에 따라 금융당국과 한국거래소도 관련 종목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며, 투자자 보호 조치에 나서고 있다. 실제로 유진로봇과 프롬바이오는 투자경고종목, 크라우드웍스는 단기과열종목으로 지정됐다.
한국거래소는 "주가가 일정 기간 급등하는 등 투자 유의가 필요한 종목은 투자주의, 투자경고, 투자위험 순으로 '시장경보종목'으로 지정된다"며 "투자경고나 투자위험 종목으로 분류될 경우, 일정 요건 충족 시 매매거래가 정지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