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산업 생활경제

속보

더보기

1400억 적자 줄인 면세점 빅4, 불황 터널 끝이 보인다

기사입력 : 2025년05월16일 16:55

최종수정 : 2025년05월16일 16:55

1분기 합산 영업손실, 16억... 작년 4분기 대비 1400억 급감
부실 점포 정리부터 희망퇴직까지…혹독한 체질개선 결과
중국 다이궁 손절 효과도...막대한 수수료·출혈경쟁 지양 영향

[서울=뉴스핌] 남라다 기자 = 국내 면세점 빅(Big)4가 올해 1분기 대규모 영업적자에서 벗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최악의 적자를 냈던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하면 4사의 합산 영업손실 규모가 1400억원 이상 대폭 급감한 것이다. 희망퇴직, 점포 효율화 등 강도 높게 체질을 개선한 데 따른 이익 개선이다. 올해도 업체들은 내실 경영으로 수익성 회복에 박차를 가한다는 입장이다. 

[영종도=뉴스핌] 윤창빈 기자 =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면세점이 귀성객과 여행객들로 붐비고 있다. pangbin@newspim.com

◆면세점 빅4, 1Q 영업손실 1400억 급감...3개월 만의 개선

16일 각사에 따르면 롯데·신라·현대·신세계면세점 등 국내 주요 면세점 업체 4사의 지난 1분기 합산 영업이익은 마이너스(-) 16억원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 분기인 지난해 4분기의 합산 영업손실(1422억원)과 비교하면 1406억원이 줄어든 수치로, 단 3개월 만에 이룬 극적인 개선이다.

전반적인 소비 심리 위축 속에서도 다른 유통 채널이 수익성 악화에 시달린 것과 달리, 면세점 업계가 선전한 결과다. 실제 면세점과 취급 상품군이 겹치는 신세계백화점과 현대백화점은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5% 이상 감소했다.

면세 업체별 실적을 보면, 롯데면세점은 지난 2023년 2분기 이후 7개 분기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하며 전체 시장의 수익성 개선을 끌어올렸다는 평가다.

롯데면세점의 1분기 영업이익은 153억원으로 플러스(+) 전환했다. 지난 2023년 2분기(58억원) 이후 7개 분기 만에 처음으로 기록한 흑자다. 지난해 1분기 영업손실(280억원) 대비 433억원의 이익 개선을 이뤘는데, 지난해 4분기(-510억원)과 비교하면 적자 개선폭은 663억원으로 더 커진다. 매우 고무적인 실적 개선이다.

나머지 신라·신세계·현대면세점 3사도 1분기 적자폭을 대폭 줄였다. 호텔신라가 운영하는 신라면세점의 영업손실은 지난해 4분기 439억원에서 올 1분기 50억원으로 400억원 가까이 적자를 축소했다.

신세계면세점 역시 영업손실액이 직전 분기인 지난해 4분기 355억원에서 올 1분기 23억원으로 1분기 만에 이익이 93.5%(332억원) 급증한 것이다. 지난해 4분기 118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던 현대면세점은 올 1분기 19억원으로 적자를 100억원 가량 줄였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중구 롯데면세점 명동본점 모습.  mironj19@newspim.com

◆혹독한 다이어트...다이궁 손절 효과도

소비심리 위축에 따른 내수 부진에도 면세점들이 내실을 챙길 수 있었던 것은 강도 높은 체질 개선 영향이 컸다.

롯데면세점은 일단 중국 보따리상(다이궁)과 거래를 중단한 것이 주효했다. 거래 규모가 큰 대형 다이궁과의 거래 비중을 줄여 수익성이 눈에 띄게 개선됐다.

면세점들은 그간 다이궁 유치를 위해 막대한 송객 수수료를 지급해 왔다. 송객 수수료는 물건 값의 30~40%에 달해 이익을 갉아 먹는 주범으로 지목돼 왔다. 다이궁과의 손절이 막대한 수수료 절감으로 이어졌고 그 효과가 고스란히 영업이익에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나머지 3사도 다이궁 유치를 위한 출혈 마케팅을 지양하고 다이궁의 매출 비중을 점진적으로 줄여나가고 있다.

면세 업계의 한 관계자는 "그간 공항면세점의 적자를 시내면세점에서 메워왔다. 막대한 수수료를 지급하면서 다이궁을 유치하기 위한 업체 간 출혈 경쟁이 심했다. 그만큼 과도한 수수료와 마케팅을 전개한 것이 적자를 키운 주원인"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지난해부터 업체들이 다이궁 비중을 줄이는 등 시내면세점 경쟁이 완화된 것도 이익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또 국내외 부실 점포에 대한 효율화 작업도 수익성 개선에 한몫했다. 롯데면세점은 지난 2월 뉴질랜드 웰링턴 공항점 영업을 종료한 데 이어 이달 말 계약이 만료되는 베트남 다낭 시내점과 호주 다윈 공항점도 접는다. 잠실 월드타워점 매장 면적도 35%나 축소했다.

희망퇴직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도 봤다.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면세점 4사는 일제히 희망퇴직을 실시하며 비용 절감에 나섰다. 신라면세점과 현대면세점은 지난 달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으며, 신세계면세점은 지난해 11월 희망퇴직을 실시한 데 이어 올해 초에는 시내면세점인 부산점을 아예 폐점했다.

롯데면세점은 지난해 8월 단행한 희망퇴직을 통헤 직원 150여명이 회사를 떠났다. 임원 급여도 20% 삭감하기도 했다.

올해도 면세점들은 수익성 강화를 위한 내실 경영에 주력한다. 현대면세점은 오는 7월까지 서울 동대문점을 폐점하고 삼성동 무역센터점 매장도 축소할 방침이다.

롯데면세점은 향후에도 다이궁 대신 외국인 단체 관광객과 개별 관광객 직접 유치를 위한 마케팅을 강화해 면세점 본업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복안이다. 국내외 부실 점포에 대한 효율화 작업도 계속 진행한다.

롯데면세점 관계자는 "하반기 중국 단체관광객 한시적 무비자 입국이 본격화되면 단체 관광객 증가에 따른 매출과 수익성이 동시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면세 시장 안정화와 수익성 확보를 위한 효율적인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nrd@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이재명의 사람들] '집사' 김남준 [서울=뉴스핌] 지혜진 기자 = 김남준 대통령 제1부속실장은 '진심으로 이재명을 위하는 사람'으로 꼽힌다. 지난해 총선 이후 이재명 대통령이 당대표로서 확고한 리더십을 확립하면서 '이제는 민주당 의원 170여명 모두가 친명(친이재명)'이라는 말이 나올 때도 김 실장은 이 대통령의 안위와 향후 행보를 진심으로 걱정하는 '진짜 이재명의 사람'으로 평가받았다. 그렇기에 김 실장은 이 대통령의 선택에 매번 신중하고 우려스러운 시각을 나타냈었다. 일례로 김 실장은 이 대통령의 당대표 연임을 반대했다. 지난해 6월쯤 당내 기류는 '리더십이 공고한 이 대통령이 한번 더 당대표를 해야 한다'는 입장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참모인 김 실장은 "당을 위해선 연임을 하는 게 맞겠으나 본인(이재명)의 대권을 위해선 안하는 게 맞다"는 입장이었다. 조기대선을 예상할 수 없던 그 시점에는 연임하는 당대표가 2026년 지방선거 공천까지 책임질 각오를 해야 했다. 이미 총선을 압승으로 이끈 '성공한 당대표'였던 이 대통령이 굳이 연임해서 지방선거라는 변수를 책임질 필요가 없다는 게 김 실장의 시각이었다. 김남준 제1부속실장. [사진=김남준 SNS] 2022년 대선에서 패배한 이 대통령이 인천 계양을 보궐선거에 참전하는 것도 반대했다. 대신 원외에서 당대표에 도전하라고 조언했다. 이 대통령이 너무 일찍 국회에 입성하면 이미지나 에너지 소모가 너무 클 수 있다는 우려 탓이다. 오로지 '대통령 이재명'이 되는 데 유리한 선택이 무엇인지 고민한 것이다. 이번 대선을 앞두고는 이 대통령의 'PI'(President Identity)를 고민하면서 온화하고 무게감 있는 이미지를 부각하려고 애썼다. 성남시장이나 경기도지사 때 이 대통령의 강한 이미지가 두드러진 만큼 대통령으로서는 신중함을 강조하려고 뒷받침했다. 그러한 노력 중 하나가 이 대통령이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못남기도록 비밀번호를 바꾼 일이다.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 소통에 능한 이 대통령이 밤 늦은 시각에 '날 것 그대로'의 발언을 올릴까 우려해서다. 현안에 대해 깊이 있는 토론이 가능한 이 대통령의 장점을 살리기 위해 짧은 공중파 방송 인터뷰보다 1시간 이상 길게 이야기할 수 있는 유튜브 방송에 이 대통령이 출연하도록 조언하기도 했다. 김 실장은 성남 지역 케이블방송 기자 출신으로 이 대통령과 함께 일한 지는 10여년 정도 됐다. 2014년 재선 성남시장이던 이 대통령은 김 실장에게 성남시 대변인 자리를 제안했다. 이 대통령이 경기도지사에 당선됐을 때는 경기도청 언론비서관으로 일했다. 이후 국회에 입성해서도 김 실장은 의원실 보좌관, 정무조정부실장 등을 역임하며 이 대통령의 최측근에서 보좌했다. 이번 대선 선거대책위원회에선 후보 일정팀 선임팀장을 맡았다. 언론인 출신인 만큼 언론 소통을 총괄해왔다. 국회 기자들뿐만 아니라 이 대통령의 수사와 재판을 취재하는 법조 기자들도 김 실장이 직접 소통한 것으로 알려졌다. '체력 좋은' 이 대통령의 일정을 보좌하느라 계엄 직후인 올해 초에는 한동안 벌겋게 충혈된 눈으로 업무를 보기도 했다. 김 실장이 담당할 제1부속실은 대통령의 일정, 수행, 현안보고 등 대통령을 최지근거리에서 보좌하는 곳이다. 매 정권마다 대통령의 복심이 제1부속실장 자리를 맡아왔다. '문고리' 혹은 '문지기' 권력으로도 불린다. heyjin@newspim.com 2025-06-13 14:08
사진
李대통령, 오광수 민정수석 사의 수용 [서울=뉴스핌] 이영태 선임기자 = 이재명 대통령은 13일 전날 밤 사의를 표명한 오광수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의 사의를 수용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오광수 민정수석이 어젯밤 이재명 대통령께 사의를 표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오광수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 [사진=대통령실] 강 대변인은 "이 대통령은 공직기강 확립과 인사 검증을 담당하는 민정수석의 중요성을 두루 감안해 오 수석의 사의를 받아들였다"고 전했다. 이어 "대통령실은 이재명 대통령의 사법개혁 의지와 국정 철학을 깊이 이해하고 이에 발맞춰 가는 인사로 조속한 시일 내에 차기 민정수석을 임명할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차명 부동산과 차명 계좌 의혹으로 오 수석이 물러난 만큼 차기 민정수석 검증 기준에 청렴함 등이 포함될 것이야는 질문에 "일단 저희가 가지고 있는 국정철학을 가장 잘 이해하고 이를 시행할 수 있는 분이 가장 우선적인 이재명 정부의 인사검증 원칙이라고 할 수 있겠다"며 "새 정부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감이 워낙 크기 때문에 그 기대에 부응하는 게 첫 번째 사명"이라고 답했다. 이 관계자는 오 수석 건을 계기로 인사 검증 기준이라 원칙이 마련될 수 있느냐는 질의에는 "이 대통령이 여러 번 표방했던 것처럼 우리 정부에 대한 기대감, 그리고 실용적이면서 능력 위주의 인사가 첫 번째 가장 먼저 포방될 원칙"이라며 "그리고 여러 가지 우리 국민들이 요청하고 있는 바에 대한 다방면적인 검토는 있을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medialyt@newspim.com 2025-06-13 09:43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